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출필고(出必告) 반필면(反必面)[창덕가2 52 페이지 / 전적]

'나갈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뵌다'라는 뜻으로, 외출할 때와 귀가했을 때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예기(禮記)》에서 유래됨.

출필곡 반필면(出必告 反必面)[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나갈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뵌다'라는 뜻으로, 외출할 때와 귀가했을 때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를 비유하는 고사성어.

출필곡 반필면(出必告 反必面)[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출필곡 반필면(出必告 反必面)

출필곡(出必告)과 반필면(反必面)[명륜가(明倫歌) 23 페이지 / 전적]

나갈 때는 반드시 고하고 돌아와서는 반드시 면대함.

출호이자반호이자(出乎爾者反乎爾者)[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6 페이지 / 전적]

너에게서 나온 것은 다시 너에게로 돌아간다.

출효지향(出孝之鄕)[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효도로 이름난 고장.

출효지향(出孝之鄕)[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효도로 이름난 고장.

[장씨부인역사라 3 페이지 / 전적]

‘침’의 옛말.

[장씨부인역사라 3 페이지 / 전적]

‘침’의 옛말.

춤추는 옷소매 땅이 좁아 걸리느니[송강집(松江集二)2 110 페이지 / 전적]

舞神地窄. 한경제(漢景帝)의 아들 장사정왕(長沙定王)이 입조(入朝)하자 제(帝)는 춤을 추게 하니

충(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4 페이지 / 전적]

「降∝」- ∝은 秉彛의 性을 말함. 書經 湯誥에「惟皇上帝 降∝干下民」이라 하였음.

충간(忠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충성스러운 마음으로 윗사람의 잘못을 간함.

충곡(衷曲)[가사소리 32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로 생각하는 마음의 깊은 속.흔히 간절하고 애틋한 마음을 이름.

충곡서원[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충곡서원, 기준, 김덕성, 유계를 배향함

충곡선도(衷曲善導)[오윤가 30 페이지 / 전적]

충곡은 심곡(心曲)과 같은 말로 여러 가지로 생각하는 마음의 깊은 속 또는 흔히 간절하고 애틋한 마음을 말함. 선도는 올바르고 좋은 길로 인도함.

충곡선도(衷曲善導)[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 페이지 / 전적]

충곡은 심곡(心曲)과 같은 말로 여러 가지로 생각하는 마음의 깊은 속 또는 흔히 간절하고 애틋한 마음을 말함. 선도는 올바르고 좋은 길로 인도함.

충군애국(忠君愛國)[환행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사랑함.

충군애국(忠君愛國)[환행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사랑함.

충근(忠勤)하신[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4 페이지 / 전적]

충성스럽고 근면하신.

충금(沖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5 페이지 / 전적]

虛懷와 같은 말임. 老子에 「道沖而用之 或不盈」이라 했고 또 「大盈若沖」이라 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