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충동(衝動)[사친가2(思親歌(二)) 17 페이지 / 전적]
심하게 마음을 흔들어놓는 것. 또는, 그러한 자극.
충동(衝動)[환무자탄가 3 페이지 / 전적]
반성이나 억제 없이 발작적으로 행동하려는 마음의 움직임.
충렬(忠烈)[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충성스러운 열사.
충렬각(忠烈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8 페이지 / 전적]
충신열사를 기리고 추모하고자 세운 사당.
충렬손(忠烈孫)[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충신 열사의 자손.
충렬왕(忠烈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1 페이지 / 전적]
고려 제25대 왕(1236~1308)으로 이름은 거(昛), 초명은 심(諶)·춘(賰)이다. 원나라에 굴복하여 세조의 공주를 아내로 맞이하였으며, 그 풍습과 문물 제도를 받아들이고 원나라의 간섭을 심하게 받았다. 재위 기간은 1274~1308년이다.
충렬음덕[팔역가(八域歌) 27 페이지 / 전적]
충신열사의 조용한 도움
충목왕(忠穆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2 페이지 / 전적]
고려 제29대 왕(1337~1348)으로 이름은 흔(昕), 시호는 현효(顯孝)이다. 충혜왕의 맏아들로, 원나라에 볼모로 가 있다가 8세 때에 즉위하였으며, 나이가 어려 어머니가 대신 나라를 다스렸다. 재위 기간은 1344~1348년이다.
충무공(忠武公)[팔도안희가 6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때의 명장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의 시호를 높여 이르는 말.
충발(衝發)[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감정 따위가 치밀어 올라 터짐.
충발(衝發)[헌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감정 따위가 치밀어 올라 터짐.
충복(充腹)[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6 페이지 / 전적]
배 속에 가득 차있다. 욕심이 많다는 의미.
충복(充腹)[나부가라(라부가라) 9 페이지 / 전적]
음식의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아니하고 고픈 배를 채움.
충복충장(充腹充腸)[춘산노인담 4 페이지 / 전적]
자신의 배와 자신의 창자만을 채우는 것
충복하복(忠僕下僕)[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충성스럽게 시중을 드는 남자 종.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춘복하복’으로 되어 있음. (참고 : 가사의 원문 중 속음(俗音)이나 변음(變音)의 표기, 또는 오자 (誤字) 등은 가사의 현대역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가급적 그 표기의 예를 이처럼 제시해 둔다. 이하 다른 각주에 드는 낱말의 경우도 이와 같다.)
충분(忠憤)[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충의로 인하여 일어나는 분한 마음.
충분(忠憤)[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충의로 인하여 일어나는 분한 마음.
충비(忠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0 페이지 / 전적]
충실히 주인을 섬기는 계집종.
충사(冲射)[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혈(穴) 주위의 지세가 혈을 찌르듯이 밀고 들어오는 형세를 말한다.
충사(冲射)[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양쪽에서, 또는 앞뒤에서 혈처(穴處)로 뾰족하게 찌르는 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