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층양(層樣)업[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5 페이지 / 전적]
층양없다.
층찬의[사향가라 9 페이지 / 전적]
칭찬의.
층층(層層)전의(典儀)[답사향곡(답향곡) 5 페이지 / 전적]
층층마다 치러야할 법식(法式)과 의식(儀式)을 아울러 이르는 말.
층층시하(層層侍下)[사친가2(思親歌(二)) 7 페이지 / 전적]
부모․조부모 등의 어른들을 모시고 있는 처지.
층층시하(層層侍下)[사친가2(思親歌(二)) 17 페이지 / 전적]
부모 조부모 등의 어른을 모시고 있는 처지.
층층시하(層層侍下)[답가사라(답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 조부모 등의 어른들을 모시고 사는 처지.
층층시하(層層侍下)[답가사라(답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 조부모 등의 어른들을 모시고 사는 처지.
층층시하(層層侍下)[신힁가라 6 페이지 / 전적]
부모, 조부모 등의 어른들을 모시고 사는 처지.
층층시하(層層侍下)[망부가 6 페이지 / 전적]
부모, 조부모 등의 어른들을 모시고 사는 처지.
치[셔유곡 17 페이지 / 전적]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치[북쳔가 3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치가(致家)[별교사(별교)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업(家業)을 이룸.
치가지절(治家之節)[벌교사(벌교) 7 페이지 / 전적]
집안을 다스리는 절도.
치격(絺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5 페이지 / 전적]
「絺綌」-葛布의 가는 것은 絺요 굵은 것은 綌이라 함. 詩經周南 葛覃에「爲絺爲綌 服之無斁」이란 句가 있는데 이는 文王의 后妣가 손수 絺綌을 만들어 儉德을 率先한 詩이므로 인용한 것임.
치경(治經)[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강경(講經) 곧, 조선 시대에 과거의 강경과에서 시험관이 지정하여 주는 경서의 대목을 외던 일.
치경(治經)[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강경(조선 시대에, 과거의 강경과에서 시험관이 지정하여 주는 경서의 대목을 외던 일).
치경(致敬)[지효가(知孝歌) 5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다하여 공경함.
치계(雉鷄)[가사소리 21 페이지 / 전적]
꿩과 닭.
치곡(致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7 페이지 / 전적]
「致曲」-中庸에『其次致曲 曲能有誠』이라 했는데 註에 『推는 致의 뜻이요 曲은 一偏이다. 대개 사람의 性이 같지 않은 바 없으나 氣는 다르므로 오직 聖人은 能히 그 性의 全體를 들어 극진히 하고 그 다음은 반드시 善瑞發見의 偏으로부터 모주리 推致하여 각각 그 極에 이르게한다』라 했음.
치국(治國)[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나라를 다스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