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치우(蚩尤)[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중국에 전하는 전설상의 인물. 신농씨 때에 난리를 일으켜 황제(黃帝)와 탁록(涿鹿)의 들에서 싸우면서 짙은 안개를 일으켜 괴롭혔는데 지남차를 만들어 방위를 알게 된 황제에게 패하여 잡혀 죽었다고 한다. 후세에는 제나라의 군신(軍神)으로서 숭배되었다.

치우(蚩尤)[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중국에 전하는 전설상의 인물. 신농씨 때에 난리를 일으켜 황제(黃帝)와 탁록(涿鹿)의 들에서 싸우면서 짙은 안개를 일으켜 괴롭혔는데 지남차를 만들어 방위를 알게 된 황제에게 패하여 잡혀 죽었다고 한다. 후세에는 제나라의 군신(軍神)으로서 숭배되었다.

치우(蚩尤)[초씨션원쳥음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황제(黃帝) 때의 제후. 난을 자주 일으켰기 때문에 황제가 토벌하여 죽임.

치우란(蚩尤乱)[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치우의 난을 뜻하는 것으로 치우가 헌원에게 복종하지 않고 난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는 듯하다.

치우지란(蚩尤之亂)[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8 페이지 / 전적]

역사상 최초의 전쟁으로서 黃帝 軒轅氏와 탁록에서 전쟁을 치렀다는 치우.

치울제[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추울 때. 추운 대로. 춥게.

치원(致遠)[석천집(石川集二-三)2-3 104 페이지 / 전적]

윤의중(尹毅中) 조선 중종,선조 때의 문신. 치원(致遠)은 그의 자(字), 호는 낙촌(駱村).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구(尹衢)의 아들이다. 주서(注書),저작(著作) 등을 거쳐 명종 4년(1554)에 부교리(副校理)로서 제주 선위사(濟州宣慰使)가 되었다. 후에 대사간, 예조참판, 형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치원(致遠)[석천집(石川集二-五)2-5 108 페이지 / 전적]

최치원(崔致遠) 신라 말엽의 학자. 자는 고운(孤雲), 또는 해운(海雲). 말년에 난세를 절망하여 각지를 돌아다니다가 해인사(海印寺)에 들어가서 여생을 마치었다.

치원대[팔역가(八域歌) 28 페이지 / 전적]

최치원 전설이 있는 곳

치위[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추위.

치위[가사소리 22 페이지 / 전적]

추위.

치의(緇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緇衣」- 鄭風의 章名임. 舊說에「鄭桓公 武公이 그 職」을 잘하니 周人이 사랑하여「緇衣之宣兮 敝予又改爲兮」라는 노래를지었다」하였고, 禮記에는 「緇衣의 詩에서 어진이를 좋아하는지성을 보겠다」라 하였음.

치의(緇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8 페이지 / 전적]

「緇衣」―검은 갖옷인데 古代에 鄕士가 退朝하여 治事할 때 입는 것임. 詩經 鄭風 緇衣에「緇衣之冝兮 敝豫又改爲兮 適子之舘兮 還與授子之粲兮」라는 章이 있고 禮記 緇衣에「好賢如緇衣」라 하였음.

치자후문(稚子候門)[환무자탄가 20 페이지 / 전적]

어린 것들이 대문에서 손 흔들어 나를 맞이함.

치장(治粧)[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9 페이지 / 전적]

잘 매만져 곱게 꾸밈.

치장(治粧)[경영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잘 매만져 곱게 꾸밈.

치장(治粧)[별교사(별교) 2 페이지 / 두루마리]

매만져 곱게 꾸미거나 모양을 냄.

치장(治粧)[자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잘 매만져 곱게 꾸밈.

치장(治粧)[신힁가라 3 페이지 / 전적]

잘 만져 곱게 꾸밈.

치장(治粧)[자치가 4 페이지 / 전적]

잘 손질하여 모양을 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