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치수(治水)[ 1 페이지 / ]

물을 잘 다스려 그 피해를 막고 이용에 편리를 꾀하는 것.

치수(治水)[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4 페이지 / 전적]

물을 잘 다스려 그 피해를 막고 이용에 편리를 꾀하는 것.

치수(治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하천(河川)ㆍ호수(湖水) 등을 잘 다스려 홍수나 가뭄의 피해를 막음.

치수(治水)[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하천(河川)ㆍ호수(湖水) 등을 잘 다스려 홍수나 가뭄의 피해를 막음.

치수가 전부터 민수와 합한다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4 페이지 / 전적]

서로 취미가 같음을 비유함. 치(淄)와 민(澠)은 두 강물의 이름.《列子 說符》에‘백공(白公)이 묻기를‘물에다 물을 타면 어떻겠습니까?‘하니, 공자가 이르기를‘치수와 민수의 합함은 역아(易牙)가 안다.‘고 하였다.‘하였음.《新論九流》

치승(淄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8 페이지 / 전적]

「淄澠」- 두 물 이름인데, 모두 山東에 있음.이 두 물의 맛이각기 다르나 합해 놓으면 분별하기 어려운데, 유독 易牙가 능히 분별했다.列子에 「淄澠之合 易牙能知之」라 하였음」

치승(淄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0 페이지 / 전적]

「淄澠」淄水와 澠水를 合稱한 것인데 다 山東에 있다。이 두물 맛이 다르나 合해놓으면 분변하기 어려운데 齊人 易牙만이 분면 했다。列子說符에 「淄澠之合 易牙甞而知之」라 하였음

치악(稚岳)[관동별곡 3 페이지 / 전적]

원주 동쪽에 있는 산. 치악산.

치애(致哀)[지효가(知孝歌) 6 페이지 / 전적]

지극한 마음으로 슬퍼하는 것.

치양성(雉壤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치악산성.

치엄(致嚴)[지효가(知孝歌) 6 페이지 / 전적]

엄숙함을 다하는 것.

치오(侈傲)[오륜가라 26 페이지 / 전적]

우쭐하고 거만함.

치오(侈傲)[오륜가라 26 페이지 / 전적]

우쭐하고 거만함.

치우(致憂)[지효가(知孝歌) 5 페이지 / 전적]

근심을 다하는 것.

치우(蚩尤)[알성가(謁聖歌) 34 페이지 / 전적]

황제(黃帝) 시대의 제후의 호. 병란(兵亂)을 좋아하여 황제에게 주륙(誅戮) 되었음

치우(蚩尤)[론학가권지일 7 페이지 / 전적]

헌원씨와 탁록(涿鹿)에서 전쟁을 벌인, 동이(東夷)족의 수장.

치우(蚩尤)[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에 전하는 전설상의 인물. 신농씨 때에 난리를 일으켜 헌원씨(軒轅氏)와 탁록(涿鹿)의 들에서 싸우면서 짙은 안개를 일으켜 괴롭혔는데 지남차를 만들어 방위를 알게 된 황제에게 패하여 잡혀 죽었다고 함. 후세에는 제나라의 군신(軍神)으로서 숭배됨.

치우(蚩尤)[론학가권지일 7 페이지 / 전적]

헌원씨와 탁록(涿鹿)에서 전쟁을 벌인, 동이(東夷)족의 수장.

치우(蚩尤)[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에 전하는 전설상의 인물. 신농씨 때에 난리를 일으켜 헌원씨(軒轅氏)와 탁록(涿鹿)의 들에서 싸우면서 짙은 안개를 일으켜 괴롭혔는데 지남차를 만들어 방위를 알게 된 황제에게 패하여 잡혀 죽었다고 함. 후세에는 제나라의 군신(軍神)으로서 숭배됨.

치우(蚩尤)[거창가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에 전하는 전설상의 인물.신농씨 때에 난리를 일으켜 황제(黃帝)와 탁록(涿鹿)의 들에서 싸우면서 짙은 안개를 일으켜 괴롭혔는데 지남차를 만들어 방위를 알게 된 황제에게 패하여 잡혀 죽었다고 한다.후세에는 제나라의 군신(軍神)으로서 숭배되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