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 페이지 / 전적]

남송(南宋)의 소홍(紹興) ·건도(乾道) 연간에 이창령(李昌齡)이 정리하여 세상에 소개하였다.이 책은 권선서(勸善書)이며 도덕의 모범서로서, 위는 사대부에서 아래는 서민에 이르기까지 소중히 여겼다.그 요점은 제악막작중선봉행(諸惡莫作衆善奉行)의 한 말로 끝나지만, 그 사상적 원류는 이미 4세기 초의 《포박자(抱朴子)》에서 찾을 수 있으며, 고래(古來)의 민중윤리로서 금지되어온 사항이 이 책에 종합된 것이다.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남송(南宋)의 소홍(紹興) ·건도(乾道) 연간에 이창령(李昌齡)이 정리하여 세상에 소개하였다.이 책은 권선서(勸善書)이며 도덕의 모범서로서, 위는 사대부에서 아래는 서민에 이르기까지 소중히 여겼다.그 요점은 제악막작중선봉행(諸惡莫作衆善奉行)의 한 말로 끝나지만, 그 사상적 원류는 이미 4세기 초의 《포박자(抱朴子)》에서 찾을 수 있으며, 고래(古來)의 민중윤리로서 금지되어온 사항이 이 책에 종합된 것이다.

태상노군(太上老君)[도덕가(道德歌) 3 페이지 / 전적]

도교의 종주로 모신 노자(老子)의 존칭

태상벼슬[석천집(石川集二-五)2-5 37 페이지 / 전적]

태상은 구경(九卿)의 하나인 벼슬로서 종묘(宗廟) 등의 제사를 맡은 벼슬.

태세(太歲)[여자탄 6 페이지 / 두루마리]

그 해의 간지(干支).

태세(太歲)[여자탄 6 페이지 / 두루마리]

그 해의 간지(干支).

태세(太歲)[초원동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그 해의 간지(干支).

태소(泰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5 페이지 / 전적]

「泰素」―乾坤鑿度에「太初는 氣의 始요 太始는 形의 始 太素는 質의 始다」라 하였음

태수가 즐겨 나막신을 꺾어 신었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93 페이지 / 전적]

사령운은 나막신을 신고 산에 올라다니기를 좋아했는데, 산에 올라갈 때에는 앞축을 떼어냈고, 산에서 내려올 때에는 뒷축을 떼어냈다.

태수대(太守臺)[석촌별곡 13 페이지 / 전적]

화순군 이서면 창랑강 동쪽 언덕에 있던 대. 한강(寒岡) 정구(鄭逑)가 동복현감으로 있으면서 정암수(丁岩壽)의 창랑정(滄浪亭, 후에 宋時烈이 淸淨齍로 개칭)에 대응하여 선조 23년(1590)에 일으켰다고 한다.

태시(太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0 페이지 / 전적]

「太始」―列子 天瑞에「太初者 氣之始也 太始者 形之始也」라하였음.

태식사(胎息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하단전(下丹田)의 호흡을 하는 사(砂). 태식(胎息)은 도가(道家)의 호흡법으로 가만가만 숨을 쉬어서 배꼽아래에 미치게 하는 호흡법이다.

태식사(胎息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하단전(下丹田)의 호흡을 하는 사(砂). 태식(胎息)은 도가(道家)의 호흡법으로 가만가만 숨을 쉬어서 배꼽아래에 미치게 하는 호흡법이다.

태식사(胎息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하단전(下丹田)의 호흡을 하는 사(砂). 태식(胎息)은 도가(道家)의 호흡법으로 가만가만 숨을 쉬어서 배꼽아래에 미치게 하는 호흡법이다.

태신범절(態身凡節)[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몸가짐과 규범이나 도리에 맞는 모든 질서와 절차.

태심(太甚)[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8 페이지 / 전적]

너무 심함.

태심(太甚)[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8 페이지 / 전적]

너무 심함.

태아검(太阿劍)[쳥츈상심곡(쳥츈심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초나라 보검의 하나.

태아를 왕씨에게 주었도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7 페이지 / 전적]

태아(太阿)는 칼 이름으로 권력을 장악한 것을 뜻함. 왕씨(王氏)는 원제 황후(元帝皇后) 왕씨의 동생 봉 (鳳). 이 사람이 권력을 잡음으로부터 외척(外戚)들이 발호하였는데, 장우(張禹)가 그들에게 아첨하였으므로 주운이 배척하였다.

태액(太液)[송강집(松江集三)3 28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미앙궁(未央宮) 앞에 있는 못으로 이는 임금의 환궁을 의미 한 것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