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태임(太姙)[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로 문왕을 임신했을 때 태교를 잘 했다고 함.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에서 주실(周室)의 삼모(三母)로서 태강(太姜), 태임(太任), 태사(太姒)를 들고 있음.
태임(胎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3 페이지 / 전적]
「胎妊」- 婦人이 懷胎했을 때 그 思想, 視聽, 言動을 純正하게 하면, 胎兒가 그 感化를 받게 됨.太任이 文王을 뱄을 적에 눈으로 惡色을 보지 않고 귀로 淫聲을 듣지 아니하였으므로 文王이 나서 明聖하였으니, 이는 太任의 胎敎로 말미암은 것이라 하였음.列女傳에 보임.
태임(胎妊)[오윤가 8 페이지 / 전적]
뱃속에 아이를 가짐.
태임태사(太任太姒)[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태임은 중국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이고 태사는 문왕의 비(妃)인데, 모두 덕행으로 유명하다
태임태사(太任太姒)[초원동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태임(太任)은 주문왕(周文王)의 어머니. 현모(賢母)의 대표. 태사(太姒)는 주문왕의 아내. 양처(良妻)의 대표.
태임태사(太任太姒)[조심가라 39 페이지 / 전적]
태임은 주(周) 왕계(王季)의 비. 문왕(文王)의 어머니로 현모(賢母)의 대표. 태사는 주 문왕의 비 무왕(武王)의 어머니로 양처(良妻)의 대표.
태임태사(太任太姒)[초원동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태임(太任)은 주문왕(周文王)의 어머니. 현모(賢母)의 대표. 태사(太姒)는 주문왕의 아내. 양처(良妻)의 대표.
태임태사(太任太姒)[조심가라 39 페이지 / 전적]
태임은 주(周) 왕계(王季)의 비. 문왕(文王)의 어머니로 현모(賢母)의 대표. 태사는 주 문왕의 비 무왕(武王)의 어머니로 양처(良妻)의 대표.
태임태사(太任太姒)[한양가라 54 페이지 / 전적]
태임은 주문왕의 어머니로 현명한 어머니의 대명사로 쓰이며, 태사는 주문왕의 아내로 양처(良妻)의 대명사로 쓰인다.
태임태사(太妊太姒)[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태임은 문왕의 어머니이 태사는 무왕의 어머니.어진 어머니를 뜻하는 말.
태임태사(太妊太姒)[조선충효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주(朱)나라 왕계의 비이며, 문왕의 母이다.
태임태사(太妊太姒)[조선충효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태임은 문왕(文王)의 어머니, 태사는 문왕의 비.
태임태사(太姙太似)[팔도안희가 15 페이지 / 전적]
주나라 문왕의 아내를 가리키는 말로, 아내의 현숙한 덕행을 이르는 말이다. <계녀가(戒女歌)> 구절 중에 “오늘날 하는 말이 너희 듣기 꿈같으나 인성이 본선하니 깨쳐내면 되느니라 고사에 실린 말씀 역력히 있건마는 장황하여 다 못하고 대강으로 기록하니 자세히 들어두고 명심하여 잊지마라 태임태사 착한 사적 만고에 유훈이요 그 남은 유자군자(幽者君子) 여자중에 몇몇인고 지금도 짐작하면 옛사람 뿐이로다”가 있다.
태임태사(太姙太姒)[벌교사(벌교) 6 페이지 / 전적]
문왕의 어머니 태임과 문왕의 후비 태사를 말함.
태자(太子)[가사애부가(가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문왕의 아들 무왕(武王).주나라의 첫 군주.
태자하(太子河)[연행별곡(연별곡) 13 페이지 / 전적]
요동 지역 백암성(白巖城) 남쪽 아래로 흐르는 강.
태장(笞杖)[옥단춘전이라 49 페이지 / 전적]
볼기를 치는 데 쓰던 형구.
태전(太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73 페이지 / 전적]
「太顚」-唐 潮州 寺僧임. 韓愈 與孟簡尙書書에「潮州時 有一老僧號太顚 頗聰明識道理 因與徃來 遂造其廬」라는 말이있음.
태정(台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42 페이지 / 전적]
「台鼎」-帝輔의 稱인데 예전엔 三公을 稱하여 台鼎이라 했으니 이를테면 별이 三公가 있고 鼎이 三足이 있는 것과 같다는 뜻임.
태조(太祖)[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1대 왕(1335~1408). 성은 이(李). 왕위에 오르기 전의 이름은 성계(成桂)이고 왕위에 오른 후의 이름은 단(旦). 자는 중결(仲潔). 호는 송헌(松軒). 고려 말기의 무신으로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웠고,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정권을 장악하여 조선 왕조를 세웠다. 재위 기간은 1392~1398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