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태사(太姒)[녁대가(녁가) 19 페이지 / 전적]
태사(太姒)는 주문왕의 아내로, 양처(良妻)의 대표임.
태사공[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1 페이지 / 전적]
사마천.
태사공(太史公)[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이백(李白)을 지칭.
태사공(太史公)[칠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①'태사(太史)'를 높여 부른 말 ②'사마천(司馬遷)'의 자칭(自稱).
태사공(太史公)[춘몽가(츈몽가) 10 페이지 / 전적]
사마천(司馬遷)'을 달리 이르는 말.사마천이 태사 벼슬을 한 데서 유래.
태사혜(太史鞋)[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남자의 마른신. 비단이나 가죽으로 울을 하고, 코와 뒤축 부분에는 흰 줄무늬를 새겼음.
태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太山齊豪芒」― 莊子 齊物論에「天下莫大於秋毫之末 而太山 爲小라 하였음.
태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1 페이지 / 전적]
太山秋毫」―蔣子 齊物論에「天下莫大乎秋毫之末而太山爲小」라는 대문이 있음.
태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6 페이지 / 전적]
「泰山頹」―禮 檀弓에『孔子가 일찌감치 일어나 負手하고 막대를 끌며 문앞에서 서성거리다가 노래하기를「泰山其頹乎 梁木其摧乎 哲人其萎乎」』라 하였는데, 이는 孔子의 자신에 대한 비유인 것이다. 孔子가 夜夢에 兩楹의 間에 坐奠하였으므로 장차 죽을 것을 스스로 알았다. 그래서 이 노래를 한 것인데, 과연 七日만에 歿하였다.
태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7 페이지 / 전적]
「泰山」― 全羅北道 泰仁縣의 舊號인데 一齋 李恒의 居地임
태산 대왕(泰山大王)[회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왕(十王)의 하나
태산(泰山)[낙지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에 있는 오악 중의 하나.
태산(泰山)[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 태안시에 있는 산이름. 높다는 의미로 쓰임.
태산(泰山)[신정 도덕가(新訂 道德歌) 4 페이지 / 전적]
중국 오악(五嶽) 중에 동쪽에 자리한 산 이름, 산 중의 가장 큰 산이란 의미로도 쓰임.
태산(泰山)[봉션화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山東省) 중부 타이산 산맥의 주봉(主峰)으로 높이 1,532m, 총면적 426㎢이다. 중국의 5대 명산의 하나인 동악(東岳)으로 신성하게 여겨졌으며, 역대 황제들이 하늘의 뜻을 받는 봉선의식(封禪儀式)을 행했던 곳이다. 봉선의식을 치렀던 다이먀오(岱廟)를 비롯해 많은 유서 깊은 사당과 사찰, 정자, 비석 등이 있을 뿐 아니라, 산세와 경관 또한 아름다워 1987년 유네스코 복합유산, 즉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으로 동시에 지정되었다.
태산(泰山)[옥셜화답 2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山東省) 중부 타이산 산맥의 주봉(主峰)으로 높이 1,532m, 총면적 426㎢이다. 중국의 5대 명산의 하나인 동악(東岳)으로 신성하게 여겨졌으며, 역대 황제들이 하늘의 뜻을 받는 봉선의식(封禪儀式)을 행했던 곳이다. 봉선의식을 치렀던 다이먀오(岱廟)를 비롯해 많은 유서 깊은 사당과 사찰, 정자, 비석 등이 있을 뿐 아니라, 산세와 경관 또한 아름다워 1987년 유네스코 복합유산, 즉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으로 동시에 지정되었다.
태산(泰山)[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높고 큰 산.
태산(泰山)[한양가라 5 페이지 / 전적]
높고 큰 산.
태산(泰山)[이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교악喬嶽. 썩 높고 큰 산.
태산(泰山)[황남별곡(黃南別曲) 6 페이지 / 전적]
오악(五嶽)의 하나로 중국 산둥성 태산현 북쪽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