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태화(太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8 페이지 / 전적]

「太和」―陰陽이 會合한 冲和의 氣를 말함. 易乾에「保合太和乃利貞」이란 대문이 있음.

태화(太和)[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39 페이지 / 전적]

당나라 14대 황제 문종(文宗: 재위 827~839)의 연호. 827년부터 835년 까지 쓰였음.

태화(胎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1 페이지 / 전적]

「胎化」-또는 胎仙이라고도 하는데 鶴을 말함. 本草도綱目 禽部鶴註에『八公相鶴經에『千六百年에 마침내 胎産한다』라 하였으므로 胎仙의 稱이 이때문임.

태화원기(太和元氣)[낙지가 8 페이지 / 전적]

조화롭고 밝은 기운.

태화원기(太和元氣)[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음양의 조화된 기, 만물의 원기.

태화전(太和殿)[연행별곡(연별곡) 22 페이지 / 전적]

북경 내성(內城) 황성(皇城)안에 있는 중화(中華)에 군림(君臨)한 천자(天子)의 정전(正殿).

택(宅)[환무자탄가 3 페이지 / 전적]

집.

택반(澤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6 페이지 / 전적]

「澤畔」―屈原의 漁父辭에「遊於江潭行吟澤畔」의 구절이 있음.

택반(澤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7 페이지 / 전적]

「澤畔」― 屈原의 故事를 말한 것임. 楚辭 漁父辭에 「屈原旣放遊於江澤 行吟澤畔」이란 구절이 있음.

택반(澤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0 페이지 / 전적]

「澤畔醒」-行吟澤畔한 屈原의 獨醒을 말한것임.

택부(擇婦)[상방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며느리를 고름.

택부(擇婦)[무제(양신택졍하여) 10 페이지 / 전적]

며느리감을 고름.아내를 고름.

택서(擇壻)[의향소창가 7 페이지 / 전적]

사윗감을 고름.

택서(擇壻)[리행소챙가 2 페이지 / 전적]

사윗감을 고름.

택서(擇壻)[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윗감을 고름.

택서(擇壻)[칠여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혼처(婚處)를 구하고 사위를 고름.

택서(擇壻)[상방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위를 고름.

택실(擇室)[문슈동소챵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를 선택하다. 장가를 들다.

택연(宅然)[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집에 있는 듯.

택연(宅然)[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집에 있는 듯.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