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통어(通語)[셔운가 31 페이지 / 전적]
①통역(通譯) ②외국(外國) 사람과 서로 말이 통(通)함 ③일반(一般)에서 통용(通用)되고 있는 말.통언(通言) ④말을 통(通)함.말의 의미(意味)를 통(通)하게 함.
통어(通語)[셔운가 31 페이지 / 전적]
①통역(通譯) ②외국(外國) 사람과 서로 말이 통(通)함 ③일반(一般)에서 통용(通用)되고 있는 말.통언(通言) ④말을 통(通)함.말의 의미(意味)를 통(通)하게 함.
통어(通語)[셔운가 31 페이지 / 전적]
①통역(通譯) ②외국(外國) 사람과 서로 말이 통(通)함 ③일반(一般)에서 통용(通用)되고 있는 말.통언(通言) ④말을 통(通)함.말의 의미(意味)를 통(通)하게 함.
통어(通語)[셔운가 31 페이지 / 전적]
①통역(通譯) ②외국(外國) 사람과 서로 말이 통(通)함 ③일반(一般)에서 통용(通用)되고 있는 말.통언(通言) ④말을 통(通)함.말의 의미(意味)를 통(通)하게 함.
통어(通語)[본문가라 1 페이지 / 전적]
①통역(通譯) ②외국(外國) 사람과 서로 말이 통(通)함 ③일반(一般)에서 통용(通用)되고 있는 말.통언(通言) ④말을 통(通)함.말의 의미(意味)를 통(通)하게 함.
통영반(統營盤)[벽천가 16 페이지 / 전적]
경상남도 통영 지방에서 만든 소반. 또는 그런 양식으로 만든 소반. 아래위 두 개의 중대(中臺)가 있고 네 다리가 곧은 것이 특징이다.
통인(通引)[가사소리 1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수령의 잔심부름을 하던 이.
통정(通情)[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딱하고 안타까운 형편을 털어놓고 말함.
통정(通情)[청년남녀훈계가 7 페이지 / 전적]
딱하고 안타까운 형편을 털어놓고 말함.
통정(通情)[북쳔가 34 페이지 / 두루마리]
남녀가 정을 통함.
통정대부[팔역가(八域歌) 45 페이지 / 전적]
문관 정 3품 당상관
통정대부(通政大夫)[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둔, 정삼품 문관의 품계. 고종 2년(1865)부터 종친과 의빈(儀賓)의 품계로도 썼다.
통제사(統制使)[팔도안희가 21 페이지 / 전적]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수군(水軍)을 총지휘하는 조선시대의 관직으로 정이품이다.
통제사(統制使)[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7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군대를 통솔하는 정이품의 무관.
통제사(統制使)[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병사를 통솔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
통주강(通州江)[연행별곡(연별곡) 19 페이지 / 전적]
곧 백하(白河).강이 통주(通州)의 동성(東城)을 싸고 돌아 북으로 흘러 연도(燕都)와 통구(通溝)가 되고, 이어 서산(西山)에 이름.
통청(通淸)[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청관(淸官)이 될 자격을 얻는 것.
통청(通淸)[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홍문관의 벼슬아치가 될 자격을 얻던 일.
통촉(洞屬)[명륜가(明倫歌) 22 페이지 / 전적]
조심히 살핌.
통촉(洞燭)[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22 페이지 / 전적]
불 빛이 동굴을 꿰뚫듯이 자신의 마음을 헤아려주기를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