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토굴가(土窟歌)[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토굴은 승려(僧侶)들의 수행처(修行處)를 뜻하며, 토굴에서 용맹정진(勇猛精進)하여 깨달음을 얻은 노래를 ‘토굴가’라고 한다.
토기점(土器店)[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토기(진흙으로 만들어 구운 그릇)를 구워 파는 가게.
토기점(土器店)[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토기(진흙으로 만들어 구운 그릇)를 구워 파는 가게.
토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5 페이지 / 전적]
「土墻向明」― 書經 周官에 「不學牆面」이란 대문이 있으므로 이를 빌려쓴 것임.
토목가탄 자들도[형제붕우소회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목석 같은 남자들도.
토불토이작금(土不土而作金)하니[그리져리구경하고 30 페이지 / 전적]
흙이 흙이 아니라 금을 만들어 내니.
토산(土山)[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돌이 없이 흙으로만 된 산.
토산곤괘(土山坤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2 페이지 / 전적]
주역의 택수곤괘(澤水困卦).
토산정괘(土山鼎卦)[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1 페이지 / 전적]
화풍정괘(火風鼎卦).
토색(討索)[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93 페이지 / 전적]
돈이나 물건 따위를 억지로 달라고 함.
토색(討索)[아림가(娥林歌) 31 페이지 / 전적]
돈이나 물건 따위를 억지로 달라고 함.
토석(土石)[권왕가 54 페이지 / 전적]
흙과 돌.
토성(土星)[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3 페이지 / 전적]
북두성(北斗星)의 첫 번째 별. 관상학에서 코르 지칭하는 말.
토수(吐手)[북쳔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토시’를 한자로 쓴 말.
토수(吐手)[북쳔가 33 페이지 / 두루마리]
토시의 잘못, 토시를 한자를 빌려서 쓴 말이다.
토실토실[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보기 좋을 정도로 살이 통통하게 찐 모양.
토악(吐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9 페이지 / 전적]
「吐握」-三吐哺 三握髮의 略稱임。史記魯世家에 『周公이 伯禽에게 훈계하여 말하기를 「我一沐吐握髮一飯三吐哺 起以待士猶恐失天下之腎人」이라』하였음
토적(土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8 페이지 / 전적]
토구(土寇), 지방에서 일어나는 도둑 떼.
토정(土鼎)[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질흙으로 만든 솥.
토정비결(土亭秘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1 페이지 / 전적]
정초에 『토정비결(土亭秘訣)』이라는 책을 통해 한 해의 운수를 알아보는 대표적인 점복풍속. 『토정비결』은 조선 중기의 학자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이 지은 도참서(圖讖書)로 개인의 사주(四柱) 중 태어난 연·월·일 세 가지로 육십갑자(六十甲子)를 이용하여 일년 동안의 신수를 열두 달별로 알아보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