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통변두(痛邊頭)[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편두통.
통분(痛忿)[ 1 페이지 / ]
원통하고 분해 하는 것.
통분(痛忿)[자경별곡(自警別曲) 2 페이지 / 전적]
원통하고 분해 하는 것.
통분(痛忿)[선유가라 18 페이지 / 전적]
원통하고 분함.
통분(痛憤)[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원통하고 분함.
통분(痛憤)[서가여래가사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원통하고 분함.
통분(痛憤)[조심가라 6 페이지 / 전적]
원통하고 분하다.
통분(痛憤)[서가여래가사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원통하고 분함.
통분(痛憤)[조심가라 6 페이지 / 전적]
원통하고 분하다.
통분(痛憤)[친우상별가라 4 페이지 / 전적]
원통하고 분함.
통사(通事)[문청공연행일기(文淸公燕行日記) 5 페이지 / 전적]
사역원(司譯院) 소속의 통역관이다. 보통의 사행 기록은 정사(正使)나 서장관(書狀官) 이외에 여러 명의 통사(通事)들이 수행을 하게 된다.
통상(通常)이요[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항상 그러하다는 말.
통상(通常)이요[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항상 그러하다는 말.
통상(通常)이요[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항상 그러하다는 말.
통상조약(通商條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4 페이지 / 전적]
두 나라 사이에 통상(通商). 항해(航海)에 관(關)한 동일(同一)한 권리(權利). 의무(義務) 등(等)의 사항(事項) 및 이에 부수(附隨)되는 당사국(當事國) 국민(國民)의 입국(入國). 거주(居住) 및 영사교환(領事交換) 등(等)에 관(關)한 사항(事項)을 협의(協議) 규정(規定)한 조약(條約). 상품(商品)의 생산(生産) 교환(交換) 및 판로(坂路)의 개척(開拓) 등(等)의 관계(關係)에 있어서 서로의 이해(利害)를 조정(調整)하는 목적(目的) 아
통섭(統攝)[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0 페이지 / 전적]
모두 맡아 다스림.
통섭(統攝)[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0 페이지 / 전적]
모두 맡아 다스림.
통섭(通涉)[권왕가 11 페이지 / 전적]
서로 사귀어 내왕하는 것.
통신사(通信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일본으로 보내던 사신. 고종 13년(1876)에 수신사(修信使)로 고쳤다.
통아(筒兒)[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4 페이지 / 전적]
편전(片箭)을 발사하는 기구. 편전은 화살대의 길이 1尺 2寸(약 37cm)의 작은 화살로 매우 짧기 때문에 이를 끼워 발사하는 기구가 필요하다.통(筒)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