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통춘화답(通春和答)[어와따님요(어와님요) 8 페이지 / 전적]
뭇 새들이 활발하게 지저귐으로 봄날의 흥취가 더함.
통혼(通婚)[시절가 9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뜻을 전함. 두 집안 사이에 서로 혼인 관계를 맺음.
통혼(通婚)[자치가 26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뜻을 전함.
통훈대부(通訓大夫)[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정삼품(正三品) 당하관(堂下官)의 문관 품계.
퇴거(退去)[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뒤로 물러나 있는.
퇴거(退去)[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뒤로 물러나 있는.
퇴거리[대동가(동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턱.
퇴계(退溪)[석천집(石川集二-三)2-3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연산군,선조 때의 학자 이황(李滉,1501-1570). 퇴계(退溪)는 그의 호. 공조판서,예조판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이이(李珥)와 함께 유학계의 쌍벽을 이루었으며 성(誠)을 기본으로 일생동안 경(敬)을 실천하고 주자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발전시켜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주장했다.
퇴계(退溪)(1501~1570)[역대삼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이황(李滉) 조선 중기의 문신·성리학자.
퇴계선생(退溪先生)[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의 유학자 이황(李滉1501~1570)의 호(號)이다. 벼슬은 예조 판서, 양관 대제학 등을 지냈으며, 정주(程朱)의 성리학 체계를 집대성하여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사칠론(四七論)을 주장하였다.
퇴계선생(退溪先生)[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의 유학자 이황(李滉1501~1570)의 호(號)이다. 벼슬은 예조 판서, 양관 대제학 등을 지냈으며, 정주(程朱)의 성리학 체계를 집대성하여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사칠론(四七論)을 주장하였다.
퇴계선생(退溪先生)[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10 페이지 / 전적]
퇴계 이황(1501~1570).조선 중기의 유학자로 이동설(理動說)·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등 주리론적 사상을 형성하여 주자성리학을 심화·발전시켰으며 조선 후기 영남학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퇴계선생(退溪先生)[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2 페이지 / 전적]
퇴계 이황(1501~1570).조선 중기의 유학자로 이동설(理動說)·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등 주리론적 사상을 형성하여 주자성리학을 심화·발전시켰으며 조선 후기 영남학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퇴도선생(退陶先生)[축산별곡 6 페이지 / 전적]
퇴계 이황을 말함.
퇴도선생(退陶先生)[황남별곡(黃南別曲) 11 페이지 / 전적]
조선 명종 때의 성리학자인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가리킴.이황은 주자(朱子)의 학설을 계승하여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퇴락(頹落)[한양가라 5 페이지 / 전적]
낡아서 무너지고 떨어짐.
퇴락사(堆落砂)[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흙더미 바위.
퇴락사(堆落砂)[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흙더미 바위.
퇴상(退床)[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큰상물림(혼인 잔치 때에 큰 상을 받았다가 물린 뒤에 상을 받은 사람의 집으로 음식을 싸 보내는 일).
퇴성(退聲)[유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거문고나 가야금 연주에서, 어떤 음을 낸 다음 한 율이나 두 율 정도 끌어내리는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