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투미하다[사친가2(思親歌(二)) 2 페이지 / 전적]
어리석고 둔하다.
투박(偸薄)[근혼가(謹婚歌) 3 페이지 / 전적]
박정하고 불성실함.
투생(偸生)[츄억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죽어야 옳을 때에 안 죽고 욕되게 살기를 꾀함.
투생(偸生)[경노의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구차하게 산다는 뜻으로, 죽어야 옳음에도 죽지 않고 욕되게 살기를 꾀함을 이르는 말.
투생(偸生)[경노의심곡 17 페이지 / 두루마리]
구차하게 산다는 뜻으로, 죽어야 옳음에도 죽지 않고 욕되게 살기를 꾀함을 이르는 말.
투석 낙정(投石落井)[권왕가 38 페이지 / 전적]
우물에 돌을 던져 떨어뜨리는 것.
투수젼신[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2 페이지 / 전적]
두수전신(全身). ‘두수’는 이렇게도 할 수 있고 저렇게도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도.
투시(妬視)[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질시(嫉視). 시기하여 봄.
투식(偸食)[거창가라 21 페이지 / 전적]
① 공금이나 공곡(公穀)을 도둑질하여 먹음.② 아무 일도 하지 아니하고 먹고 지냄.
투식(偸食)[아림가(娥林歌) 22 페이지 / 전적]
① 공금이나 공곡(公穀)을 도둑질하여 먹음. ② 아무 일도 하지 아니하고 먹고 지냄.
투족(投足)[초씨션원쳥음가 15 페이지 / 전적]
발을 들여 놓음.
투죽透竹[ 1 페이지 / ]
속이 훤히 들여다 보이는 통나무 왕대
투홍위절(鬪鬨委折)[구쟉가 10 페이지 / 전적]
싸우게 된 복잡한 사정이나 이유.
퉁두란[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고려 공민왕 때 부하를 이끌고 귀화하였으며, 이지란(李之蘭)으로 개명하였다. 1392년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 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靑海君)에 봉하여졌다.
퉁두란(佟豆蘭)[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이지란(李之蘭)의 본명. 여진의 장수로 공민왕(恭愍王) 때 부하를 이끌고 고려에 귀화함. 조선의 개국공신.
퉁두란(佟豆蘭)[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이지란(李之蘭)의 본명. 여진의 장수로 공민왕(恭愍王) 때 부하를 이끌고 고려에 귀화함. 조선의 개국공신.
퉁두란(佟豆蘭)[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이지란(李之蘭)의 본명. 여진의 장수로 공민왕(恭愍王) 때 부하를 이끌고 고려에 귀화함. 조선의 개국공신.
트실트실[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바탕이나 가장자리가 매끈하지 아니하고 거칠게 트거나 보풀이 일어난 모양.
특박기[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9 페이지 / 전적]
짓밟기.
특수(特秀)[금강산유람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특별히 뛰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