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호구(好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9 페이지 / 전적]
「好逑」-좋은 배필이란 뜻임。詩經 關雎에 「窃窕淑女 君子好逑』가 있음
호구(狐裘)[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4 페이지 / 전적]
여우의 겨드랑이 밑에 있는 흰 털로 만든 갖옷으로 매우 귀한 옷임.
호구(狐裘)[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우 겨드랑이의 흰 털가죽을 여러 장 모아 이어서 만든 갖옷. ‧고관대작(高官大爵)을 상징함.
호구(狐裘)[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여우 겨드랑이의 흰 털가죽을 여러 장 모아 이어서 만든 갖옷. 고관대작(高官大爵)을 상징함.
호구(狐裘)[차운 6 페이지 / 전적]
여우의 겨드랑이 밑에 있는 흰 털로 만든 갖옷.
호구(糊口)[헌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입에 풀칠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 감을 이르는 말.
호구(糊口)[슈절자탄가 15 페이지 / 전적]
입에 풀칠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 감을 이르는 말.
호구(糊口)[헌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입에 풀칠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 감을 이르는 말.
호구(糊口)[슈절자탄가 15 페이지 / 전적]
입에 풀칠을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 감을 이르는 말.
호군이 비록 산관이지만[석천집(石川集二-二)2-2 221 페이지 / 전적]
일정한 직무가 없는 관원이다.
호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2 페이지 / 전적]
호기(虎旗), 또는 호기(號旗). 신호로 쓰는 깃발을 말함.
호기(好機)[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호기회(好機會). 좋은 기회.
호기(岵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9 페이지 / 전적]
「岵屺」―父母를 사모하는데 쓰는 말임. 詩經 魏風 陟岵에「陟彼岵兮 瞻望父兮 陟彼屺兮 瞻望母兮」의 句가 있음.
호기(浩氣)[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호연지기(浩然之氣).
호기(浩氣)[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호연지기(浩然之氣).
호기(浩氣)[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호연지기浩然之氣. 호연한 기운.
호기(灝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6 페이지 / 전적]
「灝氣淸商」- 灝氣는 水勢의 맑음을 말함. 法言에 「商當灝灝爾」라 하였음. 淸商은 秩風임 潘岳詩에 「淸商應秋至」
호기(豪氣)[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씩씩하고 호방한 기상. 꺼드럭거리는 기운.
호기(豪氣)[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씩씩하고 호방한 기상.
호기(豪氣)[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씩씩하고 호방한 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