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호기춘풍(好期春風)[후원초당 봄이듯이 1 페이지 / 두루마리]
봄바람 부는 좋은 때.
호남(湖南)[호남가(湖南歌) 5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호남성(湖南省)[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서쪽에 자리한 호남성을 말함.
호남승경(湖南勝景)[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호남 지방의 좋은 경치.
호남승경(湖南勝景)[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호남 지방의 좋은 경치.
호남오십(湖南五十)[수지장제일 2 페이지 / 전적]
호남 지역 고을의 수. 그 수가 대략 오십이다.
호남자(好男子)[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호걸의 풍모나 기품이 있고 남성다우며 풍채가 좋은 사나이. 호남아(好男兒).
호남자(好男子)[답긔슈가 5 페이지 / 전적]
호남아. 호걸의 풍모나 기품이 있고 남성다우며 풍채가 좋은 사나이.
호단(毫端)[해몽가라(몽가라) 11 페이지 / 전적]
붓끝.
호담암(胡澹庵)[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 때 선비로, 밀봉한 상소문을 올려 금나라와의 화의에 반대한 사람.
호담암(胡澹庵)[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 때 선비로, 밀봉한 상소문을 올려 금나라와의 화의에 반대한 사람.
호담암(胡澹庵)[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 남송 때 선비로, 밀봉한 상소문을 올려 금나라와의 화의에 반대한 사람.
호담암(胡澹庵)[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남송 때 선비로, 밀봉한 상소문을 올려 금나라와의 화의에 반대한 사람.
호담암(胡澹庵)[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남송 때 선비로, 밀봉한 상소문을 올려 금나라와의 화의에 반대한 사람.
호당(湖堂)[송강집(松江集四)4 32 페이지 / 전적]
젊고 재주있는 문신으로서 임금의 특명을 받은 사람들이 공부하는 독서당(讀書堂)
호당(湖堂)[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5 페이지 / 전적]
문신들에게 여가를 주어 글을 읽게 하던 곳. 조선 세종 8년에 대제학 변계량 (卞季良)이 왕명에 따라 시작하였고 병자호란 후 폐지되었다.
호당(湖堂)[석천집(石川集二-四)2-4 29 페이지 / 전적]
朝鮮朝 때 文科에 合格한 사람들에게 官職을 수행하는 도중 휴가를 주어 다시 책을읽게 하던 讀書堂.
호당(湖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0 페이지 / 전적]
독서당. 독서당은 조선시대에, 젊은 문관 가운데 뛰어난 사람을 뽑아 휴가를 주어 오로지 학업만을 닦게 하던 서재를 이른다.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 내기 위하여 성종 22년(1491)에 시행하였다가 정조 때 없앴다.
호당(湖堂)에 새로 빚은 황금주가 철철 넘친다[석천집(石川集二-一)2-1 83 페이지 / 전적]
연지(演之)가 서당(書堂)에서 술을 빚어놓고 기다리므로 그렇게 말했다. 황금(黃金)은 술이름
호대(縞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9 페이지 / 전적]
縞帶」―左傳襄公二十九年「吳季札이 鄭에가서 子産을 만나보고 舊知와 같이 여겨 縞帶를 선물했다」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