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호덕[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로, 원전에 판독이 불가능하나 뒤에 나오는 이름으로 확인하능함.

호덕[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로, 원전에 판독이 불가능하나 뒤에 나오는 이름으로 확인하능함.

호덕지행(好德之行)[거취가(去取歌) 6 페이지 / 전적]

아름다운 덕으로 행동함.

호도[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호두.

호도엿[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껍질을 벗긴 호두의 속살을 넣어서 만든 엿.

호두(虎頭)가 곧추되면[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9 페이지 / 전적]

우백호의 산머리가 높게 되면.

호락무황(好樂無荒)[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즐기되 지나치지 않음. 『시경(詩經)』의 한 구절.

호락무황(好樂無荒)[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즐기되 지나치지 않음. 『시경(詩經)』의 한 구절.

호래군자[셩경가 11 페이지 / 전적]

호래는 원래 배운 데 없이 막되게 자라 교양이나 버릇이 없는 사람을 뜻하지만 여기에 ‘군자’라는 말을 붙여 창작자 자신의 수준을 높이려는 의도로 보임.

호래군자[셩경가 11 페이지 / 전적]

호래는 원래 배운 데 없이 막되게 자라 교양이나 버릇이 없는 사람을 뜻하지만 여기에 ‘군자’라는 말을 붙여 창작자 자신의 수준을 높이려는 의도로 보임.

호래척거(呼來斥去)[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7 페이지 / 전적]

사람을 불러 왔다가 바로 그 길로 돌려 보냄.

호량(濠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5 페이지 / 전적]

「濠梁」―莊子 秋水篇에 「莊子曰 鯈魚出遊從容 是魚之樂也 惠子曰 子非魚 安知魚之樂 莊子曰 子非我 安知我不知魚之樂」이라는 대문이 있음. 蒙叟는 莊子가 蒙人인 때문에 칭한 것임.

호량신(好良辰)[구쟉가 12 페이지 / 전적]

아주 좋은 때.

호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78 페이지 / 전적]

주(周) 나라 때 종묘에서 사용하던 그릇.《論語 公冶長》에‘자공이 묻기를‘저는 어떠한 그릇입니까?‘하자, 공자가 이르기를‘너는 호련이다.‘고 하였다.‘하였음.

호련이[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홀연(忽然)이. 뜻하지 않게 갑자기.

호렴(戶斂)[심심가(尋心歌) 22 페이지 / 전적]

집집마다 물리던 세(稅).

호렴(戶斂)[심심가(尋心歌) 22 페이지 / 전적]

집집마다 물리던 세(稅).

호령(號令)[한양가라 33 페이지 / 전적]

큰 소리로 꾸짖음.

호령(號令)[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8 페이지 / 전적]

지휘(指揮)하여 명령(命令)함. 큰 소리로 꾸짖음. 주(主)로 단체(團體) 행동(行動)에, 어떤 동작(動作)을 일제(一齊)히 하도록 하는 간단(簡單)하게 규정(規定)된 말.

호로수(葫蘆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호리병의 물이라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