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환우성(喚友聲)[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5 페이지 / 전적]

벗을 부르는 소리.

환우성(喚友聲)[옥산가라 45 페이지 / 전적]

벗을 부르는 소리.

환우성(喚友聲)[가야희인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벗을 부르는 소리.

환우셩[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환우성(喚友聲). 친구를 부르는 소리.

환웅(桓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단군 신화에 나오는 인물. 천제(天帝)인 환인의 아들로, 천부인 3개와 무리 3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 신단수 밑에 내려와 신시를 베풀고,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맡아서 세상을 다스렸으며, 웅녀와 결혼하여 단군을 낳았다고 함.

환인(桓因)[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천상을 지배하는 하늘의 임금. 단군 신화에 나오는 인물. 아들 환웅이 세상에 내려가고 싶어 하자 태백산에 내려보내어 세상을 다스리게 하였다고 함.

환자(宦者)[한양가라 58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환관이라기보다는 궁인과 궁녀들을 말한다.

환자(宦者)[구산가(求山歌) 5 페이지 / 전적]

내시부 소속의 벼슬아치.

환자(還子)[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4 페이지 / 전적]

환곡(還穀). 국가가 비축했던 곡식을 춘궁기에 백성에게 꾸어 주었다가 추수 후 돌려받던 곡식 및 그 제도. 후기에는 많은 이자를 붙여 갚게 함으로써 수취(收取) 제도로 변질되었음.

환자(還子)[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1 페이지 / 전적]

환곡(還穀). 나라에서 비축해 두었던 곡식을 춘궁기기에 백성들에게 꾸어 주었다가 추수 후 돌려받던 곡식 및 그 제도.

환자(還子)[민탄가(民歎歌) 6 페이지 / 전적]

각 고을의 사창에서 백성에게 꾸어 주었던 곡식을 가을에 다시 받아들이던 일.

환자(還子)[나부가라(라부가라) 4 페이지 / 전적]

환곡(還穀). 곡식을 사창(社倉)에 저장하였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일.

환자(還子) 신역(身役)[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7 페이지 / 전적]

환곡(還穀). 국가가 비축했던 곡식을 춘궁기에 꾸어주었다가 추수 후 돌려받던 곡식 및 그 제도. 몸으로 치르는 노역(勞役)

환자결전(還子結錢)[가사소리 17 페이지 / 전적]

환자란 조선 시대에 곡식을 사창(社倉)에 저장하였다가 봄이 되면 백성들에게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일, 또는 그 곡식을 뜻하며 결전(結錢)이란 조선 후기에, 균역법의 실시에 따른 나라 재정의 부족을 메우기 위하여 전결(田結)에 덧붙여 거두어들이던 돈을 말함.

환자소인(宦者小人)[한양가라 58 페이지 / 전적]

환관들과 간신배를 말한다.

환자화(宦者禍)[한양가라 58 페이지 / 전적]

‘환자’는 ‘내시(內侍)’, ‘환관(宦官)’을 말하며, ‘환관들이 벌인 난리’를 뜻한다.

환자환(宦者患)[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환관(宦官)들이 일으킨 환란(患亂).

환자환(宦者患)[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환관(宦官)들이 일으킨 환란(患亂).

환자환(宦者患)[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환관(宦官)들이 일으킨 환란(患亂).

환재중년(患災重年)[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7 페이지 / 두루마리]

우환과 재앙이 해를 거듭하여 닥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