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황강수(黃江水)[옥설가 44 페이지 / 전적]
황하수(黃河水)
황개(黃蓋)[일회심곡(一回心曲) 10 페이지 / 전적]
노란색 사(紗)로 양산처럼 만든 의장.
황건적(黃巾賊)[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4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말기, 장각(張角)을 우두머리로 하여 하북(河北)에서 일어난 유적(流賊)으로 모두 머리에 누런 수건을 쓴 데서 유래하며, 태평도라는 종교를 세워 반란을 일으켰다.
황건적(黃巾賊)[역대삼재가라 8 페이지 / 전적]
184년 장각이 스스로 천공장국(天公將軍)이라하고 머리에 황건을 두룸.
황겁(惶怯)[두껍전이라(겁젼이라) 22 페이지 / 전적]
겁이 나서 얼떨떨함.
황겁(惶怯)[슈양가 6 페이지 / 전적]
겁이 나서 얼떨떨함.
황경(皇京)[송강집(松江集三)3 44 페이지 / 전적]
명(明)나라 서울.
황계[석천집(石川集二-五)2-5 18 페이지 / 전적]
때 아닌 때에 우는 수탉
황계(黃鷄)[망부가 4 페이지 / 전적]
털빛이 누런 닭.
황계(黃鷄) 백주(白酒)[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4 페이지 / 전적]
털빛이 누른 닭. 빛깔이 흰 술.
황계백주(黃鷄白酒)[사친가1(思親歌(一)) 10 페이지 / 전적]
털빛이 누른 닭과 빛깔이 흰 술이라는 뜻으로, 좋은 술과 맛 좋은 술안주. 중국 당나라 이백(李白)의 시 <남릉서별(南陵敘別)>에서도 “白酒初熟山中歸 黃鷄啄麥秋正肥”라 한 시구가 있다.
황고(皇姑)[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가신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황고(皇姑)[헌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가신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황공(惶恐)[자책가(가) 2 페이지 / 전적]
분에 넘쳐 두렵다.
황공(惶恐)[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위엄이나 지위에 눌리어 두려움.
황공(惶恐)[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6 페이지 / 전적]
위엄이나 지위 따위에 눌리어 두려워 함.
황공(惶恐)[동국조선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지체 높은 사람의 은혜나 배려가 위엄 있고 분에 넘쳐 어렵고 두려움.
황공(惶恐)히[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위엄이나 지위 따위에 눌리어 두렵다.
황공(惶恐)히[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위엄이나 지위 따위에 눌리어 두렵다.
황공감사(惶恐感謝)[사친가2(思親歌(二)) 10 페이지 / 전적]
분에 넘쳐 두렵고 감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