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회양(澮陽)[관동별곡 4 페이지 / 전적]

궁예왕 대궐터 근처 마을 이름. 중국 한나라 때의 마을 이름.

회양읍(淮陽邑)[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북한) 중부에 위치한 지역.

회양읍(淮陽邑)[북쳔가 41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 회양군 북서쪽에 위치한 지역.

회양파 연이요[형제붕우소회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회양파(回陽波) 사면(四面)이요. 돌아오는 봄볕이 사면에 가득하고.

회오(悔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2 페이지 / 전적]

잘못을 뉘우치고 깨달음.

회옹[석천집(石川集二-二)2-2 196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주자의 호이다.

회옹(晦翁)[문청공연행일기(文淸公燕行日記) 29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주희(朱熹)의 호이다.

회왕[팔역가(八域歌) 6 페이지 / 전적]

전국시대 초나라 왕으로 어리석어 소인의 말을 듣고 충신 굴원을 죽이는 등 실정을 일삼다 秦나라에 잡혀가 죽임을 당함

회음촌(淮陰村)[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한신이 난 곳.

회인(懷人)[리행소챙가 60 페이지 / 전적]

마음에 있는 사람을 생각함.

회일(晦日)[말이타국원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그 달의 마지막 날.

회일(晦日)[회혼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그믐날.

회자(膾炙)[환행가 28 페이지 / 두루마리]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회자(膾炙)[환행가 28 페이지 / 두루마리]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회재선생(晦齋先生)[황남별곡(黃南別曲)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성리학자 이언적(李彦迪)을 말함.회재는 그의 호(號).중종(中宗) 때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김안로의 등용을 반대하다 쫒겨나 경주의 자옥산에 들어가 성리학을 연구하여 이황(李滉)에게 크게 영향을 줌.인종(仁宗) 때 복위되었으나 명종(明宗) 즉위 후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죽음.

회전(會戰)[허후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양편이 어울려서 싸움.

회절[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지 못함.

회절[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10 페이지 / 전적]

절개를 지키지 못함.

회정(回程)[우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돌아오는 길에 오르는 것

회정(回程)[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가던 길을 되돌아 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