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회홍(恢弘)[북쳔가 3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넓고 도량이 크다.

회환(回還)[옥단춘전이라 13 페이지 / 전적]

갔다가 다시 돌아옴.

회환창황(回還惝怳)[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왔다갔다 놀라거나 다급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회회지택(恢恢之澤)[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5 페이지 / 전적]

높고 큰 은혜. 회회(恢恢)는 넓고 한없이 크다는 말.

회곳들[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회차곳을. 모임장소를.

획력(劃力)[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글씨의 획에서 드러난 힘이나 기운.

획력(劃力)[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글씨의 획에서 드러난 힘이나 기운.

획조우천(獲罪于天)[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하늘에 죄를 받음.

획조우천(獲罪于天)[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하늘에 죄를 받음.

횡거(橫渠)[궁장가(宮墻歌) 11 페이지 / 전적]

성은 장(張), 이름은 재(載), 자(字)는 자후(子厚). 호(號)는 횡거(橫渠)이다.

횡거(橫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橫渠」- 張載의 號인데 西銘을 지었음。

횡거(橫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3 페이지 / 전적]

「橫渠豆粥」―橫渠는 宋代 儒學者 張載 橫渠先生을 말함. 豆粥은 팥죽임. 刑楚歲時記에 『共工氏가 不才의 아들이 있어 冬至日에 죽어서 疫鬼가 되었는데, 붉은 팥을 두려워하므로 冬至에는 팥죽을 만들어 禳한다』라 하였음. 橫渠의 至日豆粥詩가 있기 때문에 稱한 것임.

횡금안(橫琴案)[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거문고가 비껴있는 듯한 형세.

횡대수(橫帶水)[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풍수사상에서 물이 혈 앞을 좌우로 옆으로 띠같이 흐르면 혈판의 기가 보호되는 물을 말함.

횡대수(橫帶水)[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풍수사상에서 물이 혈 앞을 좌우로 옆으로 띠같이 흐르면 혈판의 기가 보호되는 물을 말함.

횡류(橫流)[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 페이지 / 전적]

옆으로 흐름.

횡삭[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8 페이지 / 전적]

황삭부시(橫槊賦詩)의 준말. 마상에서 창을 뉘어놓고 시를 짓는다는 말로 진중(陣中)에서 시가를 읊는 풍류를 즐긴다는 뜻이다.《南史 榮桓祖傳》에 ‘조조와 조비는 말에 타면 창을 뉘어놓고 시를 읊고 말에서 내리면 담론(談論)을 즐긴다 〔曹操曹丕上馬橫槊下馬談論〕‘ 하였다.

횡설수설(橫說竪說)[간양되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리가 없이 말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임.

횡설수설(橫說竪說)[간양되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리가 없이 말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임.

횡성(橫城)[석천집(石川集二-三)2-3 90 페이지 / 전적]

강원도에 있는 고을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