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효성왕(孝成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0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34대 왕(?~742). 성은 김(金), 이름은 승경(承慶). 성덕왕의 둘째 아들로, 740년에 파진찬 영종(永宗)의 모반을 평정하고, 당나라와 교섭하여 원만한 관계를 이루었다.
효성으리[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효성의리(孝誠義理). 효성의 의리.
효성지성(孝誠至誠)[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7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다하여 부모를 지극히 섬기는 정성.
효소왕(孝昭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0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32대 왕(?~702). 성은 김(金), 이름은 이홍(理洪)ㆍ이공(理恭). 관제(官制)를 정비하고 당나라 및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처음으로 의학 박사를 두었다. 또 이찬(伊飡) 경영(慶永)의 모반을 평정하였다.
효수(梟首)[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대죄(大罪)를 범한 사람의 목을 베어 매달아 군중 앞에 공시함으로써 대중을 경계시키던 일.
효수(梟首)[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대죄(大罪)를 범한 사람의 목을 베어 매달아 군중 앞에 공시함으로써 대중을 경계시키던 일.
효수(梟首)[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대죄(大罪)를 범한 사람의 목을 베어 매달아 군중 앞에 공시함으로써 대중을 경계시키던 일.
효수(梟首)[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대죄(大罪)를 범한 사람의 목을 베어 매달아 군중 앞에 공시함으로써 대중을 경계시키던 일.
효수(梟首)[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대죄(大罪)를 범한 사람의 목을 베어 매달아 군중 앞에 공시함으로써 대중을 경계시키던 일.
효수(爻數)[궁장가(宮牆歌) 4 페이지 / 전적]
음과 양을 표현하는 부호로서, 여섯 개의 부호가 겹쳐져서 괘(卦)를 이루는데 주역 64괘 384효가 있는 것.
효수(爻數)[궁장가(宮牆歌) 4 페이지 / 전적]
음과 양을 표현하는 부호로서, 여섯 개의 부호가 겹쳐져서 괘(卦)를 이루는데 주역 64괘 384효가 있는 것.
효순 권속(孝順眷屬)[권왕가 12 페이지 / 전적]
효성이 있고 유순한 집안 식구.
효순 권속(孝順眷屬)[권왕가 44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41과 506 참조.
효순(孝順)[청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효성이 있고 유순한 것.
효시(梟示)[송강집(松江集五)5 113 페이지 / 전적]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이 달아 놓는 것. 효수(梟首)와 같음. 痛鑑 晋元帝紀에 「掛首爲梟首」
효심(孝心)[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효도하는 마음.
효심(孝心)[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효도하는 마음.
효양(孝養)[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함.
효양(孝養)[경게가라 9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함.
효양(孝養)[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