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효제충신(孝悌忠信)[고분가 4 페이지 / 전적]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효제충신(孝悌忠信)[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효제충신(孝悌忠信)[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효제충신(孝悌忠信)[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효제충신(孝悌忠信)[남은곡 권지단이라 11 페이지 / 전적]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벗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효조(孝鳥)[별한가 28 페이지 / 전적]
가마귀를 가리킴.
효종대왕(孝宗大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17대 왕(1619~1659). 인조의 둘째 아들이며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8년간 볼모로 잡혀가 있었던 원한을 풀고자 북벌 계획을 실현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음.
효종대왕(孝宗大王)[연행별곡(연별곡)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제17대 왕. 병자호란으로 청나라에서의 8년간 볼모생활을 겪었음.
효칙(效則)[회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본받아서 법을 삼는 것.
효칙(效則)[오윤가 16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오윤가 21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경화가(警和歌) 13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8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8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0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1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경화가(警和歌) 13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
효칙(效則)[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8 페이지 / 전적]
본받아 법으로 삼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