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후방에 감춘 계집 어이하여 드렸던고[녁대가(녁가) 35 페이지 / 전적]

고열왕(考烈王)에게는 아들이 없었는데, 춘신군이 임신한 이원(李園)의 누이동생을 고열왕에게 바쳐 아들을 낳았다고 전해짐. 뒤에 비밀이 밝혀질 것을 염려한 이원은 고열왕이 병으로 죽자 춘신군과 일족을 모두 살해하였음.

후배(後陪)[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다닐 때에 뒤따르던 하인.

후배(後陪)[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벼슬아치가 다닐 때에 뒤따르던 하인.

후백제(後百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2 페이지 / 전적]

892년에 견훤이 완산주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후삼국의 하나로서 한때 세력을 떨쳤으나 견훤 부자(父子)의 불화로 936년에 고려에 망하였다.

후복(候服)[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후가 직접 다스리는 통치 영역을 말한다.

후복(候服)[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후가 직접 다스리는 통치 영역을 말한다.

후복(後福)[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3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다가올 좋은 일.

후복(後福)[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훗날의 복.

후복(後福)[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훗날의 복.

후복(後福)[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나중에 받을 복.

후복난[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후박(厚薄)에는. 후하고 박하게 하는 접대.

후봉(後鋒)[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뒤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군대 혹은 그 자리에 선 사람.

후봉(後鋒)[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뒤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군대 혹은 그 자리에 선 사람.

후부업[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후부(厚否)없게. 후박(厚薄)없게. 후하고 박함이 없게. 앞에서는 ‘후복난’으로 쓰고 있는데 문맥으로 봐서 같은 의미이다.

후비[대동가(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아내.

후비(後備)[시절가 17 페이지 / 전적]

전투태세를 갖춘 후방의 수비. 또는 그런 병사.

후사(後嗣)[별한가 32 페이지 / 전적]

대(代)를 잇는 자식.

후사(後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2 페이지 / 전적]

대를 잇는 자식.

후산(緱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5 페이지 / 전적]

「緱山鶴」- 緱山은 緱氏山인데 河南偃帥縣南에 있음. 相傳하는 말에는「王子晋이 七月七日에 白鶴를 타고 산마루에 머물러 손을 들어 詩人에게 謝하고 떠났다」라 함.

후생(後生)[셔왕가 4 페이지 / 전적]

내생(來生). 삼생(三生)의 하나. 죽은 후에 다시 태어남. 또는, 그 생애.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