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휘휘친친[잣치가라(치라) 41 페이지 / 전적]
여러 번 단단히 둘러 감거나 감기는 모양.
휘휘친친[소상팔경가 9 페이지 / 전적]
여러 번 단단히 둘러 감거나 감기는 모양.
휘휘친친[자치가 11 페이지 / 전적]
여러 번 단단히 둘러 감거나 감기는 모양.
휫들처[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휘둘리다.
휴명(休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 페이지 / 전적]
「休明」- 아름답고 밝다는 뜻임. 失熹大學章句序에「宋德隆盛治敎休明」이란 대문이 있음.
휴문(休文)[송강집(松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당(唐) 심약(沈約)의 자(字)임. 심공 정자에 쓰기 때문에 빌어 쓴 것.
휴수(携手)[냥신낙사가(냥신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손을 마주 잡는다는 뜻으로, 함께 감을 이르는 말.
휴수(携手)[냥신낙사가(냥신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손을 마주 잡는다는 뜻으로, 함께 감을 이르는 말.
휴수(攜手)27[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3 페이지 / 전적]
손을 마주 잡는다는 뜻으로, 함께 감을 이르는 말. 데리고 감
휴재(休齋)[석천집(石川集二-五)2-5 119 페이지 / 전적]
소세양(蘇世讓, 1486-1562)의 호. 그의 호는 이밖에 양곡(陽谷), 퇴재(退齋), 퇴휴당(退休堂) 등으로 알려져 있다. 언겸(彦謙)은 그의 자이다.
휴증(休徵)[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6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 때 효성이 지극했던 왕상(王祥)의 자. 24효의 한 사람으로 칭함.
휴증(休徵)[ 1 페이지 / ]
중국 진(晉) 때 효성이 지극했던 왕상(王祥)의 자. 24효의 한 사람으로 칭함.
휴증(休徵)[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 때 효성이 지극했던 왕상(王祥)의 자. 24효의 한 사람으로 칭함.
휴징(休徵)[자경별곡 8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 때 효성이 지극했던 왕상(王祥)의 자. 24효의 한 사람으로 칭함.
휴축여[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5 페이지 / 전적]
효칙(效則)하여. 본받아서.
휵아자(畜我者)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휵아자라. 나를 기른 사람이다.
휼금하사 노상간[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 페이지 / 전적]
휼금하사 노상간(鷸禽何事怒相看)
흉(胸)과 정(情)이[명륜가(明倫歌) 57 페이지 / 전적]
흉금(胸襟)과 욕정(欲情)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마음’을 뜻함.
흉격(胸膈)[애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심장과 지라 사이의 가슴 부분
흉격(胸膈)[조선충효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가슴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