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흔흔(欣欣)[신힁가라 26 페이지 / 전적]

기뻐하는 모습.

흔흔(欣欣)하여[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매우 기쁘고 만족스러워하여.

흔흔(欣欣)하여[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매우 기쁘고 만족스러워하여.

흔흔낙낙(欣欣樂樂)[동국조선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흔흔낙락(欣欣樂樂)[동국조선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흔흔낙락(欣欣樂樂)[동국조선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흔희(欣喜)[시절가 11 페이지 / 전적]

환희(歡喜)(매우 기뻐함).

흘간(紇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4 페이지 / 전적]

「紇干」- 紇干承基를 말함. 承基는 唐太子 承乾의 養士인데 魏王 泰가 奪嫡의 뜻이 있어 兩者의 사이에 틈이 벌어저 마침내太子는 죄를 얻어 廢를 당하고, 泰도 凶險하다 하여 晋王 治로 皇太子를 세우니 承基의 一黨은 失勢하였음.

흘게눈[호남비결(湖南秘訣) 4 페이지 / 전적]

눈동자가 비뚤어지게 옆으로 할겨보는 눈.

흘니노니[ 1 페이지 / ]

흐르게 놓으니.

흘러지고[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흐르고.

흘러지고[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흐르고.

흘립(屹立)[유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깎아 세운 듯이 우뚝 솟아 있음.

흘키다[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2 페이지 / 전적]

‘흘기다’의 방언.

흘해왕(訖解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7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16대 왕(?~356). 기림왕이 대를 이을 자식이 없이 죽자 대신들의 추대로 즉위하였다.

흘호(屹乎)[오륜가라 16 페이지 / 전적]

우뚝하게 높이 솟은 모양.

흘호(屹乎)[오륜가라 16 페이지 / 전적]

우뚝하게 높이 솟은 모양.

흠(欠)[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인격이나 언행 등에 나타나는 결점.

흠격(歆格)[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신명(神明, 천지 신령)이 감응하는 것.

흠경(欽敬)[태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하며 존경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