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흥황(興況)[대동가(동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흥미 있는 상황.
흥황(興況)[대동가(동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흥미 있는 상황.
흥황(興況)[칠여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흥미(興味)를 가질 만한 여유(餘裕)나 형편(形便).
흥황(興況)[동국조선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흥미 있는 상황
흥황(興況)[셔유곡 22 페이지 / 전적]
흥미 있는 상황.
흥황(興況)[칠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흥미(興味)를 가질 만한 여유(餘裕)나 형편(形便).
흩어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9 페이지 / 전적]
「散髮」- 그림 속의 사람을 이름. 韓子蒼의 太乙眞人圖詩에「太乙眞人蓮葉丹 脫巾露髮寒飇飇」라 하였음.
흩치다[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흩어지게 하다.
희가(姬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5 페이지 / 전적]
「姬歌」―周穆王滿의 黃竹謠를 말함. 穆天子傳에「日中大寒 北風雨雪 有凍人天子作黃竹詩三章以哀之曰 皇我萬民 旦夕勿忘」이라 하였음
희강왕(僖康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1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43대 왕(?~838). 성은 김(金). 이름은 제륭(悌隆). 흥덕왕이 후사(後嗣)가 없이 죽자 삼촌인 균정과 왕위 다툼 끝에 균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으나, 뒤에 그를 도왔던 김명 등이 난을 일으키자 목매어 자살하였다.
희구(喜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1 페이지 / 전적]
「喜懼」― 늙은 父母를 위해 쓰는 말임. 論語 里仁篇에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라 하였는데, 註에 「旣喜其壽 又懼其衰 於愛日之誠 自有不能已者」라 하였음.
희구지심(喜懼之心)[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한편으로는 기쁘면서 한편으로는 두려운 마음.
희구지심(喜懼之心)[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한편으로는 기쁘면서 한편으로는 두려운 마음.
희노견작(喜怒見作) 안색(顔色)하면[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6 페이지 / 전적]
기뻐하고 성내는 것이 얼굴에 나타나면.
희농(羲農)[석천집(石川集二-五)2-5 115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성인이라고 전하는 복희씨(伏羲氏)와 신농씨(神農氏).
희담(戱談)[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익살로 하는 말.
희담(戱談)[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익살로 하는 말.
희담농담(戱談弄談)[명륜가(明倫歌) 100 페이지 / 전적]
실없는 말과 농지거리.
희락(喜樂)[광애가(廣愛歌) 7 페이지 / 전적]
기뻐하고 즐거워함.
희락(喜樂)[동과가(諌過歌) 1 페이지 / 전적]
기뻐하고 즐거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