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희자락(喜自樂)[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3 페이지 / 전적]
즐거워 스스로 즐기다.
희작(戱作)[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글 따위를 실없이 장난삼아 지음. 또는 그 글.
희작(戱作)[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글 따위를 실없이 장난삼아 지음. 또는 그 글.
희종(熙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7 페이지 / 전적]
고려의 제21대 왕(1181~1237)으로 이름은 영(韺), 초명은 덕(悳)이다. 자는 불피(不陂). 최충헌을 제거하고자 하였다가 실패하고 도리어 폐위당하였다. 재위 기간은 1204~1211년이다.
희한(稀罕)[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좀처럼 대하기 어려울 만큼 특이하거나 기묘함.
희한하다[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1 페이지 / 전적]
매우 드물거나 신기함.
희행(喜幸)[별교사(별교) 4 페이지 / 두루마리]
기쁘고 다행스러움.
희헌(羲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7 페이지 / 전적]
「軒羲」-軒轅과 伏羲의 合稱임。
희호(熙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8 페이지 / 전적]
「熙皞」- 熙熙는 光明의 뜻이요 皞皞는 廣大의 뜻임.
희호(熙皥)[송강집(松江集三)3 129 페이지 / 전적]
희희(熙熙) 호호(皥皥)는 태평의 기상을 이름. 荀子에「熙熙兮其樂」,孟子 盡心篇에「王子之民皞皞如也」
희호세계(熙皞世界)[몽중가(夢中歌) 7 페이지 / 전적]
밝은 세상.
희호세계(熙皞世界)[시호가(時呼歌) 1 페이지 / 전적]
밝은 세상.
희화(羲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6 페이지 / 전적]
「羲和」―日御임. 楚辭離騒에「吾令羲和弭節兮」라 했고 許愼註에 「日乘車 駕以六龍 羲和御之」라 하였음. 여기는 帝舜이 冀都로 돌아가지 못했단 말임.
희활(稀闊)[삼팔가(三八歌) 7 페이지 / 전적]
소식이 드문드문 함.
희황(義皇) 베개[성산별곡 6 페이지 / 전적]
‘희황’은 중국 고대의 황제 ‘복희씨(伏羲氏)’를 말함. ‘희황 베개’는 모서리에 ‘희황상인(義皇上人)’을 수놓은 베개. ‘희황상인’은 복희씨 때의 은일지사. 이들을 베개에 수놓아 잠을 자면 편하다 하여 생겨난 베개가 ‘희황 베개’.
희황(羲皇)[면앙정가(俛仰亭歌) 8 페이지 / 전적]
복희씨의 태평성대를 말함.
희황(羲皇)[송강집(松江集二)2 169 페이지 / 전적]
무사태평을 의미함. 晋書 逸士傳에「陶潜嘗言夏日虛閒高臥北窓之下淸風飄至 自謂羲皇」
희황(羲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6 페이지 / 전적]
「羲皇上人」- 太古의 사람과 같은 뜻으로 淵明의 自謂임. 陶潜文에「항상 말이 五六月 중에 北窓아래 누워서 淸風이 잠깐 불어오는 것을 만나면 바로 羲皇上人이라 自謂하였다」라 하였음.
희황씨(羲皇氏)[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7 페이지 / 전적]
삼황(三皇)의 첫머리에 꼽는 중국의 전설상의 제왕 또는 신.
희황제(羲皇帝)[금강산유람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고대의 제왕인 복희씨(伏羲氏).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수위(首位)를 차지하며, 팔괘(八卦)를 처음으로 만들고 그물을 발명하여 어렵(漁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