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희색(喜色)[운청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하는 모습.

희색(喜色)[두껍전이라(겁젼이라) 18 페이지 / 전적]

기뻐하는 얼굴빛.

희색(喜色)[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8 페이지 / 전적]

기뻐하는 얼굴빛.

희성(希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9 페이지 / 전적]

「希聲」― 老子 道德經에 「大器晩成 大音希聲」이라 했는데, 대개聲의 至微한 것을 이름. 邵雍詩에「玄酒味方淡 大音聲正希」의 句가 있음.

희소 담락(喜笑湛樂)[이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서 웃으며 화락하게 즐기는 일.

희소(稀少)[과부가(寡婦歌) 1 페이지 / 전적]

매우 드물어서 적다.

희소담락(喜笑湛樂)[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서 웃으며 오래도록 즐김.

희소담락(喜笑湛樂)[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서 웃으며 오래도록 즐김.

희소담락(喜笑湛樂)[노정가라(노졍기라) 26 페이지 / 전적]

희소(喜笑)는 기뻐서 웃음. 담락(湛樂)은 평화롭고 화락하게 즐김.

희소담락(嬉笑談樂)[충행단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기쁘게 웃고 즐거워하며 이야기를 나눔

희소동락(喜笑同樂)[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 웃음으며 즐거움을 같이 함.

희소희락(喜笑喜樂)[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서 웃고 기뻐서 즐거워 함.

희소희락(喜笑喜樂)[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서 웃고 기뻐서 즐거워 함.

희씨와 화씨가[석천집(石川集二-二)2-2 193 페이지 / 전적]

희씨와 화씨들은 <<서경>> <요전>에 나오는 요임금의 신하들인데, 해와 달과 별들의 움직임을 살펴 역서(曆書)를 만들며, 백성들에게 때를 알려 주었다.

희씨화씨(羲氏和氏)[신정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하(夏)왕조의 정치 조직 제도는 비교적 간단하였는데, 천체사계(天體四季)를 책임지고 관찰하는 직책이 희씨(羲氏)와 화씨(和氏).

희열(喜悅)[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하고 즐거워 함.

희열(喜悅)[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기뻐하고 즐거워 함.

희열(喜悅)[칠여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기쁨과 즐거움. 또는 기뻐하고 즐거워함.

희열(喜悅)[효행가(孝行歌) 3 페이지 / 전적]

기뻐함.

희왕(僖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6 페이지 / 전적]

발해의 제8대 왕(?~817). 성은 대(大). 이름은 언의(言義). 연호를 주작(朱雀)이라 고치고, 중국 당나라와 교류하여 그 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였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