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내물왕(奈勿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7 페이지 / 전적]
신라 제17대 왕(?~402).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추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이 시기에 한자가 처음 사용된 듯하다.
내박(來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4 페이지 / 전적]
(배가)어떤 곳에 와서 정박(碇泊ㆍ渟泊)함.
내복(內福)하다.[청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겉보기에는 그저 그러나 속이 실하고 유복하다.
내사(事)가[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일이.
내사(事)가[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일이.
내사불언(內事不言)[분별가(分別歌) 4 페이지 / 전적]
안의 일을 말하지 아니하며. 즉 여자들의 일을 참견하지 않으며.
내삼천(內三千) 외팔백(외팔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5 페이지 / 전적]
경관(京官)이 삼천 명, 외관(外官)이 팔백 명이라는 뜻으로, 문무백관이 의장(儀裝)을 갖추고 모이는 것을 이르던 말.
내삼천(內三千) 외팔백(외팔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2 페이지 / 전적]
경관(京官)이 삼천 명, 외관(外官)이 팔백 명이라는 뜻으로, 문무백관이 의장(儀裝)을 갖추고 모이는 것을 이르던 말.
내상(內相)[명륜가(明倫歌) 57 페이지 / 전적]
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내상(內相)[여행록이라(여녹이라) 18 페이지 / 전적]
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림.또는 그런 아내.
내생(來生)[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죽은 뒤의 생애.
내생(來生)[서가여래가사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미래, 다음 세상의 생애.
내생(來生)[서가여래가사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미래, 다음 세상의 생애.
내선(內禪)[송강집(松江集五)5 131 페이지 / 전적]
왕위(王位)를 세자(世子)에게 넘긴다는 말
내선일체(內鮮一體)[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1937년 일제가 전쟁 협력 강요를 위해 취한 조선 통치 정책. 일본과 조선은 한 몸이라는 뜻으로, 이후 조선에 대한 일제 식민 정책의 표어였다.
내선일체(內鮮一體)[축원하온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1937년 일제가 전쟁협력 강요를 위해 취한 조선통치정책. '내(內)'라 함은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전, 그들의 해외식민지를 '외지(外地)'라 부른 데 대한 일본 본토를 가리키는 '내지(內地)'의 첫 자이며, '선(鮮)'이란 조선을 가리키는 말로, 일본과 조선이 일체라는 뜻. 한민족의 저항을 초기부터 말살·차단하려는 철저한 민족말살정책이었음.
내선일체(內鮮一體)[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0 페이지 / 전적]
일본과 조선은 한 몸이라는 뜻으로,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조선인의 정신을 말살하고 조선을 착취하기 위하여 만들어 낸 구호.
내성군자(乃成君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4 페이지 / 전적]
이에 군자의 경지를 이룸.
내성군자(乃成君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4 페이지 / 전적]
이에 군자의 경지를 이룸.
내성군자(乃成君子)[도슈샤 8 페이지 / 전적]
이에 곧 군자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