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년[남자답가라(남답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년[팔도가 13 페이지 / 전적]
여자 아이의 비칭.
년[팔도가 13 페이지 / 전적]
여자 아이의 비칭.
년록(年年綠)[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해마다 푸르름.
녜[ 1 페이지 / ]
예전.
녜쟈[ 1 페이지 / ]
살아가자고
노[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7 페이지 / 전적]
실·삼·종이 따위를 가늘게 비비거나 꼰 줄.
노 양생(魯兩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4 페이지 / 전적]
「魯兩生」―史記 叔孫通列傳에「於是叔孫通使徵魯諸生三十餘人魯有兩生 不肯行 曰今天下初定 死者未葬 又欲起禮樂 禮樂所由起 積德百年而後可與也 公所爲不合古 吾不行 公徃矣 叔孫通笑曰若鄙儒也 不知時變」이라 하였음。
노(奴)래하니[사시풍경가라 12 페이지 / 전적]
노래하니.노(奴)를 잘못 씀.
노(怒)하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2 페이지 / 전적]
노여움을 일으키다.
노(老)장[그리져리구경하고 24 페이지 / 전적]
‘老長’ 혹은 ‘老丈’. 늙은 중을 높여 부르는 말.
노(魯)나라[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노(魯)나라는 주(周)나라 주공(周公)의 아들 백금(伯禽)이 세운 나라이며, 공자(孔子)의 출신지이기도 함.
노(魯)나라[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2 페이지 / 전적]
노(魯)나라는 주(周)나라 주공(周公)의 아들 백금(伯禽)이 세운 나라이며, 공자(孔子)의 출신지이기도 함.
노(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0 페이지 / 전적]
「斥鹵」- 東方은 斥이라 이르고 西方은 鹵라 이르는데 斥鹵는鹹地로서 煑鹽할 수 있고 農地는 못된다는 것을 말함.書經禹貢에 「海濱廣斥」의 대문이 있음.
노(魯)[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기원전 1055년에 주(周)나라 무왕의 아우인 주공(周公) 단(旦)이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로 기원전 249년 34대 경공(頃公) 때에 초(楚)나라에 멸망하였다.
노(魯)[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기원전 1055년에 주(周)나라 무왕의 아우인 주공(周公) 단(旦)이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로 기원전 249년 34대 경공(頃公) 때에 초(楚)나라에 멸망하였다.
노가(奴家)[남은곡 권지단이라 7 페이지 / 전적]
결혼한 여자가 남편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노가(櫓歌)노[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노 젓는 노래. 노동요.
노간(老奸)[송강집(松江集七)7 101 페이지 / 전적]
이산해(李山海)를 가리킴
노결(露結)함[칠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가을 국화에 이슬이 맺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