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내칙편(內則篇)[계녀사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 한 나라 때에 편찬된 <예기(禮記)>의 편명으로, 주로 여자들이 행해야 하는 예절이나 의식이 기록되어 있음.

내칙편(內則篇)[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시대에 편찬된 ≪예기(禮記)≫의 편명(篇名). ‘내(內)’는 여자들이 거처하는 규문(閨門) 안으로, 주로 규문 안에서 행하는 예절이나 의식이 기록되어 있음.

내칙편(內則篇)[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시대에 편찬된 ≪예기(禮記)≫의 편명(篇名). ‘내(內)’는 여자들이 거처하는 규문(閨門) 안으로, 주로 규문 안에서 행하는 예절이나 의식이 기록되어 있음.

내칙편(內則篇)[입추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예기(禮記)』의 편목(篇目) 중 하나로 부모님을 모시는 도리를 강조한 것이다.

내칙편(內則篇)[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예기(禮記)』의 한 편명으로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를 주된 내용으로 함.

내팔거팔(来八去八) 기룡(騎龍)[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7 페이지 / 전적]

는 것도 팔자형으로 가는 것도 팔자형으로 기룡(起龍)함.

내포[팔역가(八域歌) 45 페이지 / 전적]

충남 예산과 서산군 사이에 있는 가야산 둘레의 10현을 일컬음

내포(內浦)[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2 페이지 / 전적]

충청남도 서북부 삽교천 유역의 아산(牙山) 예산(禮山) 당진(唐津) 지역 일대를 가리킨다.

내하(奈何)[막소가(莫笑歌) 6 페이지 / 전적]

어찌함.

내한(奈恨)[흥비가 3 페이지 / 전적]

어찌 한스러움이 될 것인가.

내해왕(奈解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6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10대 왕(?~230). 209년 포상 팔국(浦上 八國)의 침입을 받은 가락국의 요청으로 구원병을 파견하여 이를 물리쳤다. 재위 기간에 여러 차례 백제의 침입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하였다.

내홍(內訌)[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4 페이지 / 전적]

집단이나 조직의 내부에서 자기들끼리 일으킨 분쟁.

내흉(內凶)[오륜가라 39 페이지 / 전적]

내숭.

내흉(內凶)[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내숭.

내셜[ 1 페이지 / ]

나의 사설辭說. 나의 잔 사정의 말.

낸덜아니 졀댈손가[효봉구고치산가 10 페이지 / 전적]

난들 아니 견딜손가. 난들 이런 어려움을 견딜 것이 아닌가.

냉냉(冷冷)[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차갑고 쌀쌀함.

냉락(冷落)[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1 페이지 / 두루마리]

외롭고 쓸쓸함.

냉락(冷落)[후원초당 봄이듯이 6 페이지 / 두루마리]

외롭고 쓸쓸하다.

냉락(冷落)하기[대동가(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외롭고 쓸쓸하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