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뇌정지위(雷霆之威)[명륜가(明倫歌) 50 페이지 / 전적]
뇌성벽락(雷聲碧落) 같은 위엄.
뇌택(雷澤)[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에 있는 연못. 뇌택(雷澤)에서 어장 문제로 분쟁이 있었으나 순(舜)이 가서 낚시질을 하자 1년 만에 그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함.
뇌택(雷澤)[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산동성에 있는 연못. 뇌택(雷澤)에서 어장 문제로 분쟁이 있었으나 순(舜)이 가서 낚시질을 하자 1년 만에 그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함.
뇌풍(腦風)[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풍병의 한 가지로서 뒷머리부터 등까지 차지고 추위를 느끼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병(病).
뇌풍(腦風)[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풍병의 한 가지로서 뒷머리부터 등까지 차지고 추위를 느끼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병(病).
뇌풍(腦風)[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풍병의 한 가지로서 뒷머리부터 등까지 차지고 추위를 느끼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병(病).
뇌풍(腦風)[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풍병의 한 가지로서 뒷머리부터 등까지 차지고 추위를 느끼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병(病).
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4 페이지 / 전적]
귀양살이 하는 사람을 말함. 漢書 揚雄傳에 「欽吊楚之湘∝」라는 글구가 있음.
누(樓)[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휴식을 취하거나 놀이를 하기 위해, 산이나 언덕, 물가 등에 높이 지은 다락집으로 주변의 풍광을 즐길 수 있도록 사방으로 트여 있음.
누각(樓閣)[자책가(가) 13 페이지 / 전적]
대각(臺閣). 사방을 바라볼 수 있게 문과 벽이 없이 높이 지은 다락집.
누각(樓閣)[셔유곡 3 페이지 / 전적]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이 없이 다락처럼 높이 지은 집.
누게맡겨[낙승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에게 맡겨.
누게맡겨[낙승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에게 맡겨.
누공(屢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8 페이지 / 전적]
「屢空」-貧乏하다는 말임。論語 先進篇에 「回也其庶乎 屢空」이란대문이 있는 데 자주 空匱함을 이른 것임。
누구 말 듣고 정승 삼아[녁대가(녁가) 21 페이지 / 전적]
제나라 환공이 포숙아(鮑叔牙)의 진언을 듣고 관중(管仲)을 재상으로 등용한 고사를 가리킴.
누길런고[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일런고.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