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눈물리 즐노흘느[형제붕우소회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이 절로 흘러.

눈믈이 바라나니[ 1 페이지 / ]

눈물이 바로 나니.

눈선이리[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눈에 선 일이. 눈에 거슬린 일이.

눈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0 페이지 / 전적]

「八彩眉」― 孔叢子 居衛篇에 「昔堯身修十尺 眉乃八彩」라 하였음.

눈셔리 찬구들의[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3 페이지 / 전적]

눈과 서리치는 찬 구들방에.

눈썹찡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1 페이지 / 전적]

「皺眉 」―눈썹을 찌푸린다는 말임。蘇軾의 贈寫眞何秀才詩에『又不見雪中騎驢孟浩然 皺眉吟詩肩聳山』의 句가 있음

눈에 누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2 페이지 / 전적]

「臥雪」― 後漢書 袁安傳註에 『때에 大雪이 내려 땅에 쌓인 것이 한길이 넘으니 洛陽令은 몸소 나가 安行하여 袁安의 門에당도하자 行路가 끊어졌다. 令은 袁安이 이미 죽었다 생각하고 사람을 시켜 除雪하고서 들어가 보니, 袁安이 쓰러저 누웠으므로 「왜 나가지 않느냐」물었더니 「大雪이 내려 사람이 다굶주리고 있으니 이런 때에 남에게 간청하는 것은 좋지 않다」』라 하였음. 선생은 이 故事를 引用하여 자기에게 비한 것임.皇甫雪의 詩에 「袁安方臥雪」

눈에 불을 켜서[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화가 나서 눈을 부릅뜨다. 화가 몹시 많이 났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눈에 불을 켜서[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화가 나서 눈을 부릅뜨다. 화가 몹시 많이 났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눈에삼삼[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눈 앞에 보이는 듯 선명하고 또렷하게 보임.

눈에삼삼[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4 페이지 / 전적]

눈 앞에서 본 것처럼 선명함.

눈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0 페이지 / 전적]

「透雪暗香」―梅花를 가르킨 것임

눈을 빼나[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눈짓을 일부러 지어보이지만.

눈을기여 벼릇말고[복션화음록 16 페이지 / 전적]

눈흘기어 버릇말고. 눈흘기는 버릇말고.

눈을일정 가물넌가[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6 페이지 / 전적]

눈을 편안하게 감을건가. ‘일정’은 ‘일정(一定)’으로 안정하여의 뜻.

눈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5 페이지 / 전적]

「眼花落井」- 眼花는 눈이 흐려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이름. 杜甫의 飮中八仙歌에「知章騎馬似乘船 眼花落井水底眼」의 句가있음.

눈질[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눈으로 흘끔 보는 짓.

눈질[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눈으로 흘끔 보는 짓.

눈질[한흥가라 11 페이지 / 전적]

눈으로 흘끔 보는 짓.

눈치업시 또 왓난야[복션화음록 9 페이지 / 전적]

눈치없이 또 왔느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