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맥추(麥秋)[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 페이지 / 전적]

보릿가을. 보리가 익은 때.

맥추(麥秋)[조심가라 5 페이지 / 전적]

익은 보리를 거두어들이는 철.

맥추(麥秋)[조심가라 5 페이지 / 전적]

익은 보리를 거두어들이는 철.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9 페이지 / 전적]

「訥齋」- 朴祥인데 忠州人이요, 字는 昌世이며 成化 甲年에 生하여 弘治 丙辰에 進士로 幸酉에 及第하고 弘文館修撰 및 校理 應敎를 歷任하였음. 文章直節이 一世를 聳動하였으며 謚는文簡임.

맨자지미[나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쌀밥(멥쌀로 지은 밥)’의 방언.

맬로디(mellody)[화류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가락. 노래

맵시[경영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

맹 동야(孟東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8 페이지 / 전적]

「孟韓」―唐代의 孟郊와 韓愈는 莫逆의 詩友임. 韓愈詩 『東野爲龍我爲雲』이란 句가 있음.

맹가(孟嘉)[원유가 4 페이지 / 전적]

진의 맹가가 연석에서 바람에 모자가 떨어져도 당황하지 않고 도리어 태연히 풍류를 즐겼다는 고사.

맹가씨(孟軻氏)[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맹자. ‘맹가’는 맹자의 이름

맹간이라[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만드니라.

맹간이라[몽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만드니라.

맹광(孟光)[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나라 때 양홍(梁鴻)의 아내. 남편을 지극히 섬기었음. 거안제미(擧案齊眉)로 유명한데, 밥상을 높이 들어 눈썹과 가지런히 한다는 존경의 뜻을 나타냄. 맹광(孟光)이 남편 양백란(梁伯鸞, 梁鴻)의 인격을 존경하여 높인 이야기에서 온 말.

맹광(孟光)[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나라 때 양홍(梁鴻)의 아내. 남편을 지극히 섬기었음. 거안제미(擧案齊眉)로 유명한데, 밥상을 높이 들어 눈썹과 가지런히 한다는 존경의 뜻을 나타냄. 맹광(孟光)이 남편 양백란(梁伯鸞, 梁鴻)의 인격을 존경하여 높인 이야기에서 온 말.

맹광(孟光)[한별곡 15 페이지 / 전적]

양백란의 아내로 거안제미(擧案齊眉)라는 고사가 있는데 그 뜻은 밥상을 눈썹 높이로 들어 공손(恭遜)히 남편(男便)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깍듯이 공경(恭敬)함을 일컫는 말.

맹귀우목(盲龜遇木)[자책가(가) 3 페이지 / 전적]

맹귀부목(盲龜浮木). 눈 먼 거북이 우연히 떠내려 오는 나무를 만났다는 뜻 으로 어렵던 차에 뜻밖의 행운을 얻음.

맹귀우목盲龜遇木[권왕가 47 페이지 / 전적]

맹귀부목(盲龜浮木). 눈먼 거북이 우연히 떠내려 오는 나무를 만났다는 뜻으로, 어렵던 차에 뜻밖의 행운을 얻음.

맹동(孟冬)[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음력 시월즈음의 초겨울.

맹동(孟冬)[효행록이라(효록이라) 5 페이지 / 전적]

초겨울을 뜻하는 말이나 여기서는 왕상(王祥)이 초겨울에 죽순을 캐서 어머니를 봉양했다는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이름이 잘못 전해진 듯하다.

맹동(孟冬)[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4 페이지 / 전적]

초겨울. 음력 10월을 달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