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맹동(萌動)[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6 페이지 / 전적]
싹이 트는 것.
맹동(萌動)[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 틈.
맹동(萌動)[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 남.
맹동(萌動)[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 남.
맹동(萌動)[별교사(별교) 2 페이지 / 두루마리]
싹이나 움, 순(筍)이 새로 남.
맹동(萌動)[기수가 3 페이지 / 전적]
싹이 남.
맹랑(孟浪)[과부가(寡婦歌) 3 페이지 / 전적]
이치에 맞지 않고 허망함.
맹랑(孟浪)[한양가라 38 페이지 / 전적]
생각하던 바와 달리 허망하다.
맹랑(孟浪)하다[셔유곡 5 페이지 / 전적]
보기에 처리하기가 매우 어렵고 묘한 데가 있다.
맹렬(猛烈)[한양가라 53 페이지 / 전적]
기세가 몹시 사납고 세차다.
맹로(孟魯)[석천집(石川集二-三)2-3 124 페이지 / 전적]
노(魯)나라 보도(寶刀)의 이름.
맹모(孟母)[녁대가(녁가) 38 페이지 / 전적]
맹자의 어머니. 아들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하였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가 유명함.
맹모지교(孟母之敎)[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를 줄인 말로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맹부자(孟夫子)[팔도안희가 18 페이지 / 전적]
맹자(孟子)를 높여 부르는 말로 중국 고대의 사상가이자 철학자이다. 공자의 정통유학을 계승 발전시켰고 공자 다음의 아성(亞聖)으로 불린다. 그가 내세운 기본원칙의 핵심은 백성에 대한 통치자의 의무를 강조한 것이다.
맹부자(孟夫子)[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맹자(孟子)를 가리킨다.
맹부자(孟夫子)[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맹자(孟子)를 가리킨다.
맹부자(孟夫子)[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맹자.
맹부자(孟夫子)[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맹자.
맹분(孟賁)[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제(齊)나라 때 유명한 역사(力士)로 살아있는 소의 뿔을 뽑았다고 함.
맹분(孟賁)[한흥가라 99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 제(齊)나라 역사(力士)의 이름. 일설에는 맹열(孟說)이라고도 함. 물로 가면 교룡(蛟龍)을 피하지 아니하고, 뭍으로 가면 호랑이를 피하지 아니하고 노기(怒氣)가 나면 소리가 천지(天地)를 진동한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