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3,953개

문간공 성선생(文簡公 成先生)[송강집(松江集四)4 3 페이지 / 전적]

우계선생(牛溪先生)

문걸쇠[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문고리(문을 걸어 잠그거나 여닫는 손잡이로 쓰기 위하여 문에 다는 고리)’의 방언.

문견(聞見)[오륜가라 37 페이지 / 전적]

듣고 보는 것.

문견(聞見)[구쟉가 12 페이지 / 전적]

보고 들음.

문견(聞見)[용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문견(聞見)[오륜가라 29 페이지 / 전적]

① 보고 들음. ②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문견(聞見)[가사소리 29 페이지 / 전적]

① 보고 들음. ②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문견(聞見)[역대삼재가라 16 페이지 / 전적]

견문. 보고 들은 것.

문경(聞慶)[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4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聞慶)새재[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 사이에 있는 고개.

문경(聞慶)새재[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 사이에 있는 고개.

문경무위(文經武緯)[궁장가(宮墻歌) 3 페이지 / 전적]

경위(經緯)는 직물(織物)의 날과 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인데, 문경무위는 문을 날로 삼고 무를 씨로 삼는다는 뜻이다.

문고(文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文考 -文王을 말함 武王에게 父가 되기 때문에 쓴 것임.

문곡성(文曲星)[죽장가(竹杖歌) 24 페이지 / 전적]

구성(九星) 곧 북두칠성(北斗七星) 가운데 넷째 별.

문곡영웅(文曲英雄)[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9 페이지 / 전적]

무관이 아닌 문관으로 이름을 떨친 영웅.

문과(聞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5 페이지 / 전적]

「聞過」-孟子 公孫丑篇에 『子路 人告之以有過 則喜』라는 대문이 있는데 그 註에 『周子는 말하기를 「今人有過 不喜人規 如避疾而忌醫 寧滅其身而無悟也」』라 하였음

문관(文官)[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문과(文科) 출신의 벼슬아치.

문관(文官)[북쳔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문과 출신의 벼슬아치.

문군(文君)[녁대가(녁가) 46 페이지 / 전적]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아내인 탁문군(卓文君). 일설에 의하면 상여가 첩을 얻으려고 하자 탁문군이 <백두음(白頭吟)을 지어 결별의 뜻을 밝혀, 상여가 첩 얻는 것을 단념하였다고 함. 그러나 일반적으로 <백두음>은 탁문군과는 무관한 한대(漢代)의 민가(民歌)로 봄.

문남무(文南武)[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문관(文官)과 음관(蔭官), 무관(武官)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