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문답(問答)[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묻고 대답함.
문도(門徒)[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제자.
문동답서(問東答西)[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문동답서(問東答西)[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문동답서(問東答西)[로인가 4 페이지 / 전적]
물음과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문동답서(問東答西)[몽즁운동가 5 페이지 / 전적]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동문서답과 같은 말.
문두의[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문 앞에.
문등(門燈)[몽중가(夢中歌) 8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問等’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문맥으로 봤을 때 문에 불이 밝혔다는 뜻으로 보아 ‘門燈’이 옳은 표현으로 보임.
문등(門燈)[시호가(時呼歌) 2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問等’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문맥으로 봤을 때 문에 불이 밝혔다는 뜻으로 보아 ‘門燈’이 옳은 표현으로 보임.
문란(紊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도덕(道德)이나 질서(秩序), 규칙(規則) 등(等)이 어지러움.
문립(文立)[ 1 페이지 / ]
진(晋) 나라 때 임강(臨江) 출신으로 촉한(蜀漢) 시절 태학(太學)에서「모시(毛詩)」와 삼례(三禮)를 공부하였으며 당시의 대학자인 초주(譙周)를 사사하여 공자(孔子) 문하(門下)의 안회(顔回)와 같다는 평을 얻었다. 또한 촉한에서 상서(尙書)를 지낸 건위군(犍爲郡) 출신의 정경(程瓊)과 친분이 두터웠는데, 그의 나이가 80에 가깝다하여 끝내 추천하지 않으니, 사람들은 그의 공정한 처사에 감복하였다.《晋書 卷九十一文立列傳》
문립(文立)[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45 페이지 / 전적]
진(晋) 나라 때 임강(臨江) 출신으로 촉한(蜀漢) 시절 태학(太學)에서「모시(毛詩)」와 삼례(三禮)를 공부하였으며 당시의 대학자인 초주(譙周)를 사사하여 공자(孔子) 문하(門下)의 안회(顔回)와 같다는 평을 얻었다. 또한 촉한에서 상서(尙書)를 지낸 건위군(犍爲郡) 출신의 정경(程瓊)과 친분이 두터웠는데, 그의 나이가 80에 가깝다하여 끝내 추천하지 않으니, 사람들은 그의 공정한 처사에 감복하였다.《晋書 卷九十一文立列傳》
문망(問亡)[자치가라 18 페이지 / 두루마리]
조문(弔問)과 같은 뜻.
문명(文命)[송강집(松江集三)3 24 페이지 / 전적]
우(禹)를 가리킴
문모(文每)를……합하니[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70 페이지 / 전적]
문모는 훌륭한 어머니를 일컫는 말로 여기에서는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文定王后)를 가리키며, 현묵(玄黙)은 사려가 깊고 과묵함을 뜻한다.
문목(問目)[삼한가라(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질문의 제목이나 조목.
문목(問目)[구쟉가 17 페이지 / 전적]
죄인 등을 신문(訊問)하는 조목(條目).
문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文廟」- 明 永樂 八年에 先師孔子의 廟를 改稱하여 文廟라 하였는데. 淸代에도 이를 인습하였음.
문묘[팔역가(八域歌) 26 페이지 / 전적]
공자를 배향하는 문묘에서 함께 제사를 모심
문무(文武)[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문관과 무관을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