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문안납배(問安納拜)[그리져리구경하고 5 페이지 / 전적]
문안인사하며 절을 올림.
문앞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衡門」―橫木으로 만든 淺陋한 門을 말함. 詩經 陳風 衡門에 「衡門之下 可以捿遲」의 글구가 있음.
문약(問藥)[명륜가(明倫歌) 16 페이지 / 전적]
약을 물음.
문약(問藥)[오윤가 8 페이지 / 전적]
약을 처방함.
문어걸인(問於乞人)[막소가(莫笑歌) 9 페이지 / 전적]
걸인(乞人)에게 물음.여기에서 걸인(乞人)이란 막소가가 수록된 가사집의 서문(序文)에서 등장하는 선생님을 뜻하는 듯하다.
문어천신(問於天神)[막소가(莫笑歌) 9 페이지 / 전적]
천신(하늘의 신)에게 물음.
문언박(文彦博)[오륜가라 29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언박(文彦博)[선악구설 이라(션악 구셜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언박(文彦博)[오륜가라 29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언박(文彦博)[선악구설 이라(션악 구셜이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침.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음
문여가(文與可)[석천집(石川集二-四)2-4 93 페이지 / 전적]
中國 北宋代의 文人畵家 文同의 字. 文同은 竹畵로 유명하였음.
문여가(文與可)[석천집(石川集二-四)2-4 113 페이지 / 전적]
中國 北宋代의 畵家 文同. 대나무 그림을 잘 그렸음. 蘇軾,<文與可畵篔簹谷偃竹記>:『畵竹者必先得成竹於胸中』
문옹(文翁)[송강집(松江集二)2 81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사람인데 촉군수(蜀郡守)가 되어 선정(善政)을 베풀었음.
문옹(文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2 페이지 / 전적]
漢, 舒人인데 少時에 好學하여 春秋를 通達하였다. 景帝末에 蜀郡太守가 되어 敎化를 崇尙하고 學校를 일으켜 文風이 크게 떨쳤음.
문옹(文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0 페이지 / 전적]
「文翁」-漢 舒人인데 景帝末에 蜀郡守가 되어 敎化를 숭상하고 學校를 일으켜 蜀地의 文風이 齊魯에 견주었다。武帝時에 天下의 郡國에 令을 내려 다 學校를 세우게 하였으니 文翁으로부터 비롯된 것임。
문옹의 교화[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64 페이지 / 전적]
문옹(文翁)은 서한(西漢) 경제(景帝) 때의 인물로 교화를 펼치고 학교를 일으켜 문풍(文風)을 크게 떨쳤다. 무제(武帝) 때 온 천하에 모두 학교를 설립한 것은 문옹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한다.《漢書 循吏 文翁傳》
문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3 페이지 / 전적]
「文王我師」-孟子 滕文公篇에 『顔淵曰』受何人也 予何人也 有爲者 赤若是 公明儀日 文王我帥也 周公豈欺我哉』라 하였음.
문왕[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무왕(武王)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은나라 주왕(紂王)을 살해하여 은 왕조를 무너뜨리고 주 왕조를 창건함. 호경(鎬京)에 도읍하고 중국 봉건 제도를 창설하였음. 후대에 현군(賢君)으로 평가받았음.
문왕[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무왕(武王)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은나라 주왕(紂王)을 살해하여 은 왕조를 무너뜨리고 주 왕조를 창건함. 호경(鎬京)에 도읍하고 중국 봉건 제도를 창설하였음. 후대에 현군(賢君)으로 평가받았음.
문왕(文王)[경술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를 창건한 문왕(文王). 이름은 창(昌), 작위 서백(西伯). 은나라 말기에 태공망 등 인재들을 모아 국정을 바로잡고 주나라의 초석을 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