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문불서양(問佛西洋)[거창가 14 페이지 / 전적]
부처를 서양에 묻는다는 뜻으로, 전혀 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한 일이라는 말.
문불서양(問佛西洋)[거창가 14 페이지 / 전적]
부처를 서양에 묻는다는 뜻으로, 전혀 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한 일이라는 말.
문불서양(問佛西洋)[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부처를 서양에 묻는다는 뜻으로, 전혀 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한 일이라는 말.
문불서양(問佛西洋)[아림가(娥林歌) 20 페이지 / 전적]
부처를 서양에 묻는다는 뜻으로, 전혀 이치에 닿지 않는 엉뚱한 일이라는 말.
문불입무정(門不入無情)[여자석별가 15 페이지 / 전적]
문으로 들어오지 않으면 마음이 없는 것.
문사낭청(問事郎廳)[송강집(松江集六)6 55 페이지 / 전적]
이조 때 낭청(郎廳)의 하나로 취조를 맡아보는 문청(門廳) 밑에서 죄인의 취조서를 작성하여 읽어 주는 일을 맡아 보는 사람으로 범인을 취조할 때 임시로 임명한다.(大典會通)
문사숭상(文詞崇尙)[충효가(忠孝歌) 34 페이지 / 전적]
글의 내용 보다는 형식이나 문채만 신경씀.
문산(文山)[송강집(松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문천상(文天祥)임.
문산(文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2 페이지 / 전적]
「文山」―宋나라 丞相 文天祥을 말함. 文山은 元兵에게 잡히어 北行하면서 燕臺에 이르러 六歌를 지었는데 杜甫의 同谷縣七歌를 본떠 지은 것임.
문상(問喪)[자치가 23 페이지 / 전적]
조문(弔問)과 같은 말.
문생(門生)[ 1 페이지 / ]
문하생의 준말. 문하에서 배우는 제자.
문생(門生)[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0 페이지 / 전적]
문하생의 준말. 문하에서 배우는 제자.
문선왕(文宣王)[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나라의 현종(玄宗) 때에 드린 공자(孔子)의 시호
문선왕(文宣王)[궁장가(宮墻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시호(諡號)로 중국 당나라 현종이 내렸다.
문선왕(文宣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文宣王」-孔子를 말함.
문선왕(文宣王)[메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당(唐)나라 현종(顯宗)이 내린 공자(孔子)의 시호(諡號)
문선왕(文宣王)[메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당(唐)나라 현종(顯宗)이 내린 공자(孔子)의 시호(諡號)
문성(文成=栗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 페이지 / 전적]
四七 - 四端七情의 약칭임
문성왕(文聖王)[쳥츈상심곡(쳥츈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주나라 기초를 닦은 명군.
문성장군(文成將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89 페이지 / 전적]
文成將軍」―漢의 武帝가 方士 李少翁을 文成將軍으로 삼았음.여기는 글제가 筆戰이요, 붓이 文을 이루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옛날 장군의 名號를 借用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