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연화대(蓮花臺)[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1 페이지 / 전적]
극락세계에 있다는 누대.
연화대(蓮花臺)[서가여래가사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극락세계에 있다는 연꽃 모양의 대(臺). 불·보살의 상좌(常座).
연화대(蓮花臺)[서가여래가사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극락세계에 있다는 연꽃 모양의 대(臺). 불·보살의 상좌(常座).
연화대(蓮花臺)[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7 페이지 / 전적]
극락세계(極樂世界)에 있다는 대.연꽃 모양(模樣)으로 만든 불상(佛像)의 자리.연화좌(蓮花座).고려(高麗) 때 시작(始作)된 궁중춤(宮中-).먼저 연화관(蓮花冠) 둘을 갖다 놓고, 봉죽간자 두 사람이 나와서 마주 선 다음에, 아이기생(妓生) 둘은 앞에, 기생(妓生) 둘은 뒤에 각각(各各) 서서, 당악(唐樂) 연주(演奏)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어울려 춤을 추다가 아이기생(妓生)이 연화관(蓮花冠)을 집어쓰고 잇대어 춤을 추었음.
연화대(蓮花臺)[연행별곡(연별곡) 17 페이지 / 전적]
극락세계(極樂世界)에 있다는 대.연꽃 모양(模樣)으로 만든 불상(佛像)의 자리.연화좌(蓮花座).고려(高麗) 때 시작(始作)된 궁중춤(宮中-).먼저 연화관(蓮花冠) 둘을 갖다 놓고, 봉죽간자 두 사람이 나와서 마주 선 다음에, 아이기생(妓生) 둘은 앞에, 기생(妓生) 둘은 뒤에 각각(各各) 서서, 당악(唐樂) 연주(演奏)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어울려 춤을 추다가 아이기생(妓生)이 연화관(蓮花冠)을 집어쓰고 잇대어 춤을 추었음.
연화방(蓮花坊)[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창경궁.
연화방(蓮花坊)[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초기부터 있던 한성부 동부 12방 중의 하나로서, 이곳에 도성의 동・서・남지 중 동지에 해당하는 큰 연못인 ‘연지’가 있던 데서 방 이름이 유래.
연화보(蓮花步)[쟝한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미인의 정숙하고 아름다운 걸음걸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연화봉(蓮花峰)[옥산가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 섬서성(陕西省) 화인(華陰)지역에 위치한 화산[華山]의 봉우리. 서봉(西峰)이라고도 함. 봉우리 꼭대기에는 전설 『보련(寶蓮)』에 등장하는 거대한 바위 하나가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침향(沉香)이 산을 갈라 산골모(三圣母)를 구해낸 곳이라고 적혀 있음.
연화봉(蓮花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0 페이지 / 전적]
「蓮花峯」― 盧山의 峯인데 中國 江西省 九江縣南에 있음. 宋儒周敦頤가 峯下에 집을 짓고 그 堂을 濂溪라 號하였음.
연화부수(蓮花浮水)[셔유곡 7 페이지 / 전적]
연꽃잎이 물 위에 쫙 펴 있는 모습.
연화세계(蓮華世界)[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극락세계.
연화회(蓮華會)[자책가(가) 19 페이지 / 전적]
극락정토(極樂淨土)에서 행해지는 거룩한 중생들의 회합.
연환(連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1 페이지 / 전적]
「連環」― 環은 刀環인데 環과 還이 同音이므로 還을 표시한 것임. 漢書李陵傳에「入政等 見陵 未得私語 卽目視陵而數數循其刀環 言可速歸漢也」라 하였음.
연환(連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2 페이지 / 전적]
「連環」―環과 還이 同音이므로 꿈에 環을 보면 돌아간다는 前兆라 함.위에 나타나 있음.
연환(連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2 페이지 / 전적]
「連環」―環은 還의 뜻인데 見上
연회(延回)[벌교사(벌교) 5 페이지 / 전적]
여러번.
연회沿洄[ 1 페이지 / ]
흐르는 물을 쫓아 올라감.
연회석(宴會席)[상사곡이라 3 페이지 / 전적]
잔치를 베푸는 자리.
연후(然後)[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그런 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