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연적(硯滴)[셔유곡 16 페이지 / 전적]

벼루에 먹을 갈 때 쓰는, 물을 담아 두는 그릇. 보통은 도자기로 만들지만 쇠붙이나 옥, 돌 따위로도 만듦.

연접(延接)[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1 페이지 / 전적]

손님을 맞아서 대접하는 일인 영접(迎接)과 같은 말.

연접(延接)[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손님을 맞아들여 면접하거나 대접함.

연접(延接)[장씨부인역사라 3 페이지 / 전적]

맞아서 대접하는 일. ≒영접(迎接).

연접(延接)[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손님을 맞아들여 면접하거나 대접함.

연접(延接)[장씨부인역사라 3 페이지 / 전적]

맞아서 대접하는 일. ≒영접(迎接).

연접(延接)[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영접(迎接).

연접(延接)[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영접(迎接).

연접(延接)[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영접(迎接).

연접(延接)[한양가라 16 페이지 / 전적]

영접(迎接)과 같은 말로 손님을 맞아서 대접하는 일.

연정토(淵淨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5 페이지 / 전적]

고구려 말기의 대신. 연개소문의 아우로, 형이 죽고 내외 정세가 고구려에 불리하게 되자 12성(城)을 가지고 신라에 항복하였다.

연제(練禁)[송강집(松江集三)3 78 페이지 / 전적]

소상(小祥).

연졉[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영접(迎接)한다. 반갑게 맞이한다.

연조(燕趙)[석천집(石川集二-三)2-3 97 페이지 / 전적]

춘추전국 시대의 연(燕)나라와 조(趙)나라로 다같이 진(秦)나라에 망하였음. 연나라는 주(周)나라 왕족 소공석(召公奭)이 시조였으며, 조나라는 진(晉)나라의 재상 한(韓),위(魏),조(趙)의 재상이 진나라를 삼분하여 각기 나라를 세운 제후국 중의 하나이다.

연조(燕鳥)[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제비

연조(燕鳥)[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제비.

연조(燕鳥)[몽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제비.

연조(燕鳥)[봉별가 46 페이지 / 전적]

제비.

연조협객(燕趙俠客)[역대삼재가라 7 페이지 / 전적]

예로부터 조나라와 연나라 지방에 격앙지사(激昻之士)가 많았으므로 강하고 굳세어 굴복하지 않는 기풍을 ‘연조풍(燕趙風)’이라고 흔히 일컬어 왔다.

연종(年終)[자소가(소가) 9 페이지 / 전적]

한 해의 마지막 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