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열녀문(烈女門)[자치가라 23 페이지 / 두루마리]
절개가 굳은 여자를 위해 세운 붉은 문.
열녀부경이부(烈女不更二夫)[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열녀는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
열녀부경이부(烈女不更二夫)[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열녀는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
열녀불경이부(烈女不更二夫)[숙덕부인도덕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열녀는 두 번 시집가지 않는다는 말.
열녀불경이부(烈女不更二夫)[명륜가(明倫歌) 58 페이지 / 전적]
열녀는 두 남자에게 시집가지 않음. 곧 아내는 남편이 죽으면 절개를 지켜 수절함.
열녀전[효부가 3 페이지 / 전적]
열녀전(烈女傳)은 원래 중국 한나라 유향(劉向)이 저술한 것과 명나라 때 해진(解縉)이 편찬한 고열녀전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유향의 열녀전에서 발췌하고 여기에 후대의 인물들을 덧붙여서 번역하여 만든 2책으로 된 열녀전이 있다. 이 열녀전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과 1918년에 태화서관에서 간행한 열녀전 2종이 전한다. 여기에 총 105인의 열녀에 대한 행적의 기록과 속전에 20명이 첨가되어 있다.
열녀전(列女傳)[김씨효행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漢)나라의 유향(劉向)이 지은 책. 고대로부터 한대(漢代)에 이르는, 중국의 현모ㆍ열녀들의 약전(略傳), 송(頌), 도설(圖說)을 엮었음. 또는 열녀전(烈女傳)으로 열녀의 행적을 기록한 전기.
열녀전(烈女傳)[과부가(寡婦歌) 5 페이지 / 전적]
열녀의 행적을 적은 전기.
열녀전(烈女傳)[오윤가 31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의 유향(劉向)이 지은 책. 고대로부터 한대(漢代)에 이르는, 중국의 현모·열녀들의 약전(略傳), 송(頌), 도설(圖說)이 들어있음.
열녀전(烈女傳)[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의 유향(劉向)이 지은 책. 고대로부터 한대(漢代)에 이르는, 중국의 현모·열녀들의 약전(略傳), 송(頌), 도설(圖說)이 들어있음.
열녀전(烈女傳)[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유향(劉向)이 지은 《열녀전》 8편 15권으로, 나중에 송(宋)나라 방회(方回)가 7권으로 간추린 것. 부인의 유형을 모의(母儀) ·현명(賢明) ·인지(仁智) ·정신(貞愼) ·절의(節義) ·변통(辯通) ·폐얼(嬖孽)의 7항목으로 나누어, 항목마다 15명 가량을 수록하였다. 유명한 현모 ·양처 ·열녀 ·투부(妬婦)의 이야기는 모두 다 나와 있다.
열녀전(烈女傳)[나부가 2 페이지 / 전적]
유향(劉向)이 지은 《열녀전》 8편 15권으로, 나중에 송(宋)나라 방회(方回)가 7권으로 간추린 것. 부인의 유형을 모의(母儀) ·현명(賢明) ·인지(仁智) ·정신(貞愼) ·절의(節義) ·변통(辯通) ·폐얼(嬖孽)의 7항목으로 나누어, 항목마다 15명 가량을 수록하였다. 유명한 현모 ·양처 ·열녀 ·투부(妬婦)의 이야기는 모두 다 나와 있다.
열녀전(烈女傳)[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4 페이지 / 전적]
죽음을 무릅쓰고 정정을 지킨 여자들을 기록한 책.
열녀전(烈女傳)[기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漢)나라의 유향(劉向)이 지은 책. 고대로부터 한대(漢代)에 이르는, 중국의 현모ㆍ열녀들의 약전(略傳), 송(頌), 도설(圖說)을 엮음.
열녀절행(烈女節行)[로인가 15 페이지 / 전적]
열녀들의 절개를 굳게 지키는 행실.
열녀절행(烈女節行)[로인가 17 페이지 / 전적]
열녀들의 절개를 굳게 지키는 행실.
열녀정문(烈女旌門)[자치가 24 페이지 / 전적]
절개가 굳은 여자를 위해 세운 붉은 문.
열년의[츅친서라 14 페이지 / 전적]
십년(十年)의.
열대열고[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9 페이지 / 전적]
활짝 열고.
열대왕[일회심곡(一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시왕(十王)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