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엽각(獵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4 페이지 / 전적]
「獵較」- 사냥할 때에 禽獸를 奪取하여 祭하는 것을 말함. 春秋時代에 이러한 風俗이 있었음. 孟子 萬章篇에「孔子之仕於魯也 魯人獵較 孔子亦獵較」이란 대문이 있음.
엽간(葉間)[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0 페이지 / 전적]
나뭇잎 사이.
엽간(葉間)[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6 페이지 / 두루마리]
낙엽이 떨어진 사이.
엽낙시(葉落時)[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잎이 떨어질 때에.
엽낙시(葉落時)[고분가 8 페이지 / 전적]
잎이 떨어질 때에.
엽낙엽시(葉落葉詩)[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낙엽이 떨어지는 것을 읊은 시.
엽낙엽시(葉落葉詩)[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낙엽이 떨어지는 것을 읊은 시.
엽사(獵士)[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사냥꾼.
엽사(獵師)[권왕가 26 페이지 / 전적]
‘사냥꾼’의 높임말
엽선(獵船)[셔유곡 6 페이지 / 전적]
어선(漁船)(고기잡이를 하는 배).
엽성(葉盛)[환무자탄가 9 페이지 / 전적]
잎이 무성함.
엽엽(曄曄)[자책가(가) 8 페이지 / 전적]
기상이 빛나고 성함.
엽탈(葉脫)[사친가1(思親歌(一)) 9 페이지 / 전적]
나뭇잎 색이 벗겨짐. .
엿밥죽[츄억감 10 페이지 / 두루마리]
엿물을 짜고 난 밥찌끼로 끓인 죽.
엿밥죽[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엿을 만들 때 엿물을 짜내고 남은 밥찌끼로 만든 죽.
엿새를 두었단 말인가[녁대가(녁가) 22 페이지 / 전적]
여희가 신생을 신생(申生)을 모함하기 위해, 신생이 헌공에게 보낸 제물(祭物)을 6일 동안 궁중에 두었다가 헌공이 도착하자 독을 넣어 바친 고사를 가리킴. 결국 신생은 아버지가 자신의 변명을 들어주지 않을 것을 알고, 곡옥에서 목을 매어 자결했음.
엿엿하다[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1 페이지 / 전적]
곡식들이 비가 온 후에 꿋꿋하고 생기있게 자라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영[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명령(命令).
영(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1 페이지 / 전적]
「郢」―楚의 國都임 九歌에 哀郢이 있음.
영(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4 페이지 / 전적]
「郢」― 楚의 서울임. 離騷九歌에 哀郢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