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영덕궁(永德宮)[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경복궁(景福宮)을 일컫는 것으로 추정.

영덕궁(永德宮)[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경복궁(景福宮)을 일컫는 것으로 추정.

영덕궁(永德宮)[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경복궁(景福宮)을 일컫는 것으로 추정.

영덕궁(永德宮)[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경복궁(景福宮)의 다른 이름으로 추정.

영덕궁(永德宮)[한양가라 17 페이지 / 전적]

미상.

영독(獰毒)[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모질고 독살스러움.

영독(獰毒)[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모질고 독살스러움.

영돈녕(領敦寧)[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돈령부의 으뜸 벼슬인 영사를 이르던 말, 정일품으로 주로 임금의 장인이 맡았음.

영동(嶺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영동도, 고려 시대에 둔 십도(十道)의 하나. 경주(慶州)·김주(金州) 등의 9주(州) 35현(縣)을 관할하였다.

영두운(嶺頭雲)[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5 페이지 / 전적]

고갯마루를 감싸고 있는 구름.

영두운(嶺頭雲)[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0 페이지 / 두루마리]

고갯마루에 걸린 구름.

영락(榮落)[석천집(石川集二-五)2-5 96 페이지 / 전적]

영고(榮枯). 성하고 쇠함.

영락(榮樂)[청춘사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활이 영화롭고 즐거움.

영락오동(零落梧桐)[숙덕부인도덕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오동잎이 시들고 말라서 떨어짐.

영락제(永樂帝)는……군주[ 1 페이지 / ]

영락제는 명(明) 나라의 3대 황제인 성조(成祖)를 가리킨 것으로 그의 연호(年號)가 영락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명 태조(明太祖) 주원장(朱元璋)의 아들에 아들로 이름은 체(棣). 일찍이 연왕(燕王)에 봉해졌었는데, 1402년 무력 침공을 자행하여 조카인 건문제(建文帝)를 몰아내고 수도(首都)를 금릉(金陵, 南京)에서 연경(燕京, 北京)으로 옮겼다. 이 때문에 찬탈(簒奪)한 군주라고 한 것이다.

영락제(永樂帝)는……군주[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42 페이지 / 전적]

영락제는 명(明) 나라의 3대 황제인 성조(成祖)를 가리킨 것으로 그의 연호(年號)가 영락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명 태조(明太祖) 주원장(朱元璋)의 아들에 아들로 이름은 체(棣). 일찍이 연왕(燕王)에 봉해졌었는데, 1402년 무력 침공을 자행하여 조카인 건문제(建文帝)를 몰아내고 수도(首都)를 금릉(金陵, 南京)에서 연경(燕京, 北京)으로 옮겼다. 이 때문에 찬탈(簒奪)한 군주라고 한 것이다.

영람(領覽)[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두루 관람하다.

영랑선(永郞仙)[송강집(松江集一)1 72 페이지 / 전적]

사선(四仙)의 하나임.

영력(永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명나라 마지막 황제인 영력제(永曆帝).

영력(永曆)[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3 페이지 / 전적]

명나라 마지막 황제인 영력제(永曆帝).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