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영부(領付)[냥신낙사가(냥신낙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영솔(領率)하여 부속(附屬)시킴.
영부경동서(寧復更東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6 페이지 / 전적]
어찌 다시 동서분당 싸움질 고쳐하겠소.
영부사 상공[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4 페이지 / 전적]
상진(尙震)을 말하며 호는 범허당(泛虛堂)이다.
영불(靈佛)[시절가 8 페이지 / 전적]
신령스러운 힘을 발휘하는 부처.
영산(靈山)[이회심곡(二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고대 인도 마갈타국(摩竭陀國)의 왕사성 북동쪽에 있는 산으로 석가여래가 법화경과 무량수경을 강(講)하였다는 곳임.
영산(靈山)[형제이회가(형이회가) 9 페이지 / 전적]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광대가 목을 풀려고 부르던 노래. 영산굿.
영산(靈山)[타미계라(라미키라) 2 페이지 / 전적]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광대가 목을 풀려고 부르던 노래. 영산굿.
영산(靈山)[형제이회가(형이회가) 9 페이지 / 전적]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광대가 목을 풀려고 부르던 노래. 영산굿.
영산(靈山)[타미계라(라미키라) 2 페이지 / 전적]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광대가 목을 풀려고 부르던 노래. 영산굿.
영산에 두 숙려[녁대가(녁가) 61 페이지 / 전적]
정강의 변 때 금나라로 잡혀간 휘종과 흠종을 가리키는 듯. 정강의 변은 금나라 군사가 북송(北宋)의 수도를 함락시키고 휘종과 흠종 등 3,000여 명을 포로로 잡아간 사건으로, 이 결과 북송은 멸망하고, 흠종의 아우 고종이 임안(臨安)에서 즉위하여 남송(南宋)이 이루어짐.
영산채약(靈山採藥)[도덕가(道德歌) 4 페이지 / 전적]
신령스러운 산에서 채약한 것
영산회상(靈山會相)[김씨효행가 22 페이지 / 두루마리]
현악 영산회상(絃樂靈山會相) 거문고, 가야금, 양금, 해금 따위의 현악기를 위주로 하고 대금, 세피리, 단소 따위의 관악기를 곁들인, 우아하고 섬세한 곡. 상영산ㆍ중영산ㆍ잔영산ㆍ가락덜이ㆍ삼현 도드리ㆍ하현 도드리ㆍ염불도드리ㆍ타령ㆍ군악의 아홉 대목으로 이루어진다.
영산회상(靈山會上)[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석가여래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제자들을 모아 설법하던 모임의 자리에서.
영상(影像)[애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초상을 치르거나 제사를 지낼 때 놓아두는, 고인의 사진이나 초상화. 영정(影幀)
영상(影像)[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영정(影幀)과 같은 말로 돌아가신 이의 그림이나 사진.
영상(影像)[자탄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고인(故人)의 사진이나 그림.
영상(榮喪[인여가(引轝歌) 8 페이지 / 전적]
영예로운 상사(喪事).
영상(榮喪[인여가(引轝歌) 8 페이지 / 전적]
영예로운 상사(喪事).
영상(榮喪[인여가(引轝歌) 8 페이지 / 전적]
영예로운 상사(喪事).
영서[석천집(石川集二-二)2-2 61 페이지 / 전적]
무소뿔은 신이한 능력이 있어 흰 빛이 두 머리에 통하므로, 두 마음이 서로 통한다는 비유로 쓰인다. 이상은의 <무제시(無題詩)>에도, ‘마음 속에 영서가 있어 한 점으로 통하네.[心有靈犀一點通]‘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