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내두사(來頭事)[시호가(時呼歌) 3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다가올 일.
내두사(來頭事)[시절가 13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다가올 일.
내두지사(來頭之事)[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다가올 일.
내두지사(來頭之事)[창덕가2 100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다가올 일.
내두지사(來頭之事)[창덕가2 101 페이지 / 전적]
앞으로 다가올 일.
내렴[사향곡(향곡) 12 페이지 / 전적]
내념(內念, 마음속의 생각)의 오기.
내렴[답사향곡(답향곡) 1 페이지 / 전적]
내념(內念, 마음속의 생각)의 오기.
내리[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잇따라 계속.
내말로[환무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나야말로.
내맥(來脉) 상종(相從)[유소가 7 페이지 / 전적]
종산(宗山)에서 내려온 산줄기가 서로 만남.
내맥(來脈)[유소가 6 페이지 / 전적]
풍수지리에서 종산(宗山)에서 내려온 산줄기를 이르는 말.
내맥(來脈)[호남비결(湖南秘訣) 14 페이지 / 전적]
내룡(來龍).풍수지리에서, 종산(宗山)에서 내려온 산줄기.
내물왕(奈勿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7 페이지 / 전적]
신라 제17대 왕(?~402).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추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이 시기에 한자가 처음 사용된 듯하다.
내박(來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4 페이지 / 전적]
(배가)어떤 곳에 와서 정박(碇泊ㆍ渟泊)함.
내복(內福)하다.[청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겉보기에는 그저 그러나 속이 실하고 유복하다.
내사(事)가[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일이.
내사(事)가[헌수가(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일이.
내사불언(內事不言)[분별가(分別歌) 4 페이지 / 전적]
안의 일을 말하지 아니하며. 즉 여자들의 일을 참견하지 않으며.
내삼천(內三千) 외팔백(외팔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5 페이지 / 전적]
경관(京官)이 삼천 명, 외관(外官)이 팔백 명이라는 뜻으로, 문무백관이 의장(儀裝)을 갖추고 모이는 것을 이르던 말.
내삼천(內三千) 외팔백(외팔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2 페이지 / 전적]
경관(京官)이 삼천 명, 외관(外官)이 팔백 명이라는 뜻으로, 문무백관이 의장(儀裝)을 갖추고 모이는 것을 이르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