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내응(內應)[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9 페이지 / 전적]

내부에서 은밀히 적과 통함.

내인거객(來人去客)[운청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오는 사람과 가는 사람을 아울러 이름.

내일신(一身)이[추월감 3 페이지 / 두루마리]

내 한 몸이.

내임(來任)[여자석별가 9 페이지 / 전적]

와서 취임함. 여기서는 시집가는 것을 뜻함.

내자불거(來者不去)[역대삼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오는 사람들이 증산에 감복하여 돌아가지 않음.

내자불거(來者不拒)[도슈샤 6 페이지 / 전적]

찾아오는 사람을 막지 않음.

내저외고(內低外高)[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내청룡(內靑龍)은 낮고 외청룡(外靑龍)은 높다는 말.

내저외고(內低外高)[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내청룡(內靑龍)은 낮고 외청룡(外靑龍)은 높다는 말.

내저외고(內低外高)[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내청룡(內靑龍)은 낮고 외청룡(外靑龍)은 높다는 말.

내적내창(乃積乃倉)[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8 페이지 / 전적]

창고마다 곡식을 쌓아 두고

내적내창(乃積乃倉)[오윤가 18 페이지 / 전적]

내전(內殿)[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1 페이지 / 전적]

중궁전(中宮殿)과 같은 말.

내전(內殿)[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궁궐 안에 임금이 거처하는 집.

내전(內殿)[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궁궐 안에 임금이 거처하는 집.

내정(內庭)[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7 페이지 / 전적]

안뜰.

내정(內政)[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4 페이지 / 전적]

집안 살림살이.

내정(內政)[해몽가라(몽가라) 8 페이지 / 전적]

안살림살이. 또는 국내의 정치.

내종(乃終)[나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나중’으로 다른 일을 먼저 한 뒤의 차례를 말한다.

내즐삼아[화전가(화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즐거움 삼아.

내즐삼아[화전가(화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내 즐거움 삼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