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넘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1 페이지 / 전적]

「澒洞」―서로 연대인 것을 이름.賈誼旱雲賦에 「運淸獨之澒洞兮 正重沓而並起」라 했고 杜甫詩에「憂端齊終南 澒洞不可掇」의 句가 있음.

넝굴[회츈가라 3 페이지 / 전적]

‘덩굴’의 방언. (강원도와 경상도)

넝굴[영산초장이라 1 페이지 / 전적]

‘덩굴’의 방언. (강원도와 경상도)

넝마누[금강산유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능파루(凌波樓)의 오기인 듯. 능파루는 내금강에 위치한 표훈사에 있는 누각.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1 페이지 / 전적]

「無貳」- 詩經 大雅 大明에「上帝臨女 無貳爾心」의 句가 있음.

네여이고[ 1 페이지 / ]

너로구나. ‘네‘는 이인칭 대명사‘너‘의 변한 말이다.

네요량[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8 페이지 / 전적]

네 요량(料量). 네 생각.

네집[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9 페이지 / 전적]

넷째 집.

넷까치[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윷가락 네개를 가리킴.

넷까치[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윷가락 네개를 가리킴.

녀출일구[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여출일구(女出一口). 여자가 같은 입구로 나옴.

녁진[ 1 페이지 / ]

역진力盡. 힘이 다하는 것.

[남자답가라(남답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팔도가 13 페이지 / 전적]

여자 아이의 비칭.

[팔도가 13 페이지 / 전적]

여자 아이의 비칭.

년록(年年綠)[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해마다 푸르름.

[ 1 페이지 / ]

예전.

녜쟈[ 1 페이지 / ]

살아가자고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7 페이지 / 전적]

실·삼·종이 따위를 가늘게 비비거나 꼰 줄.

노 양생(魯兩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4 페이지 / 전적]

「魯兩生」―史記 叔孫通列傳에「於是叔孫通使徵魯諸生三十餘人魯有兩生 不肯行 曰今天下初定 死者未葬 又欲起禮樂 禮樂所由起 積德百年而後可與也 公所爲不合古 吾不行 公徃矣 叔孫通笑曰若鄙儒也 不知時變」이라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