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노국(魯國)[관동별곡 8 페이지 / 전적]

공자가 태어난 나라.

노국(魯國)[석천집(石川集二-一)2-1 114 페이지 / 전적]

魯에 獨居한 男子가 밤에 風雨로 집이 무너진 隣居의 과부가 와서 依託하려하자 문을 닫고 받아들여 주지 않았다. 孔子 家語에 나온다

노국(魯國)[석천집(石川集二-三)2-3 69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넷째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인 주공단(周公旦)에게 봉(封)해준 나라. 무왕이 주(紂)를 치고 은(殷)을 이긴 후에 곡부(曲阜)를 봉해주어 노공(魯公)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나가지 않고 머물러 무왕을 도왔으며 그 큰 아들 백금(伯禽)을 노후(魯侯)로 봉했다.

노국(魯國)[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 때 산동성 곡부(曲阜)에 도읍한 제후국(BC 1043~BC 249)으로, 주 왕조를 창건한 무왕의 동생 주공단(周公旦)을 시조로 함. 유교의 시조라 할 수 있는 공자(孔子)가 태어난 나라임.

노국(魯國)[옥설가라 4 페이지 / 전적]

노나라.

노국(魯國)이 좁은 줄은 우리는 몰랐어라[옥설가 43 페이지 / 전적]

공자가 동산에 올라가 보고 비로소 노나라가 작음을 알았고, 태산에 올라서는 천하가 작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노국(魯國)좁은 줄도~작단 말인가[관동별곡 8 페이지 / 전적]

맹자(孟子)』「진심장(盡心章)」에 “공자가 동산에 올라 노나라를 작게 여기고, 태산에 올라 천하를 작게 여겼다(孔子曰 登東山而小魯 登泰山而小天下).”라는 구절이 있는데, 공자의 높은 정신적 경지[浩然之氣]를 흠모하고 있을을 노래한 것.

노국이 적단 말[옥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맹자(孟子)>에 나오는 구절(孔子登東山而小魯)로 공자가 동산에 올라보니 노나라가 작아보인다고 한 말.

노권(勞勸)[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힘써 일함.

노권(勞勸)[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힘써 일함.

노권(勞勸)[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힘써 일함.

노금(露禽)[메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학(鶴)을 달리 이르는 말.

노금(露禽)[메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학(鶴)을 달리 이르는 말.

노기(怒氣)[경게가라 14 페이지 / 전적]

성난 얼굴빛. 또는 그런 기색이나 기세.

노기(怒氣)[경게가라 14 페이지 / 전적]

성난 얼굴빛. 또는 그런 기색이나 기세.

노기(怒氣)[한양가라 17 페이지 / 전적]

성난 얼굴빛.

노기등등(怒氣騰騰)[여행록이라(여녹이라) 20 페이지 / 전적]

노하거나 성난 기운이 얼굴에 가득함.

노내하(老奈何)[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늙으면 어찌하겠는가?

노내하(老奈何)[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늙으면 어찌하겠는가?

노낼적에[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나눌 적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